시간 도약 방식(Time Hopping Spread Spectrum, THSS)

agnusdei·2025년 3월 4일
0

Network

목록 보기
290/419

1. 문제

시간 도약 방식(Time Hopping Spread Spectrum, THSS)은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술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간 축에서 불규칙하게 변동시키는 방식이다.
THSS의 개념과 동작 원리, 장단점 및 활용 사례를 설명하라.


2. 기술사 모범 답안

1. 시간 도약 방식(THSS)의 개요

  • THSS(Time Hopping Spread Spectrum, 시간 도약 확산 스펙트럼)데이터 전송 시점을 무작위적으로 변동시켜 전송하는 방식이다.
  • 특정 시간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난수(Pseudo Random) 기반의 도약 패턴을 따라 전송 타이밍을 변경함.
  •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도약 패턴(Time Hopping Pattern)을 공유해야 정상적으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 군사 통신, UWB(Ultra Wideband), 저전력 무선통신 등에 활용된다.

2. THSS의 동작 원리

(1) 송신 과정

  1.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 슬롯(Time Slot)을 무작위하게 선택한다.
  2. 의사 난수(Pseudo Random) 생성기를 이용해 일정한 규칙 없이 불규칙하게 전송 타이밍을 변경한다.
  3. 동일한 시간 도약 패턴을 가진 수신기만이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2) 수신 과정

  1. 수신기는 송신기와 동일한 시간 도약 패턴을 사용하여 신호를 감지한다.
  2. 데이터가 도착할 올바른 시간 슬롯을 찾아서 신호를 수신 및 복원한다.

3. THSS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1. 간섭 회피 능력(Interference Avoidance)

    • 동일한 주파수에서 지속적으로 송신하지 않으므로, 특정 간섭이 발생하는 구간을 피할 수 있다.
  2. 보안성(Security) 강화

    • 데이터 전송 시점이 무작위로 변동되므로, 해커나 도청자가 신호를 감지하기 어렵다.
  3. 다중 사용자 지원(Multiple Access)

    • 각 사용자마다 다른 시간 도약 패턴을 사용하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도 다중 접속이 가능하다.

(2) 단점

  1. 대역폭 이용 효율 저하(Bandwidth Inefficiency)

    • 데이터를 불규칙한 시간에만 전송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어려울 수 있다.
  2. 빠른 동기화 필요(Synchronization Complexity)

    • 송신기와 수신기가 정확한 시간 도약 패턴을 유지해야 하므로, 정밀한 동기화 기술이 필요하다.
  3. 전송 속도 제한(Limited Data Rate)

    • 빠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효율이 낮을 수 있다.

4. THSS의 활용 사례

  1. UWB (Ultra Wideband, 초광대역 무선통신)

    • UWB 시스템에서는 THSS를 이용하여 짧은 펄스 신호를 불규칙하게 전송함으로써 간섭을 줄이고,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구현함.
  2. 군사 통신 및 보안 시스템

    • 레이더, 암호화 통신, 군사 네트워크에서 신호 도청 방지를 위해 사용됨.
    • 특정 시간에만 신호를 송신하여 적이 신호를 감지하기 어렵도록 함.
  3.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Wireless Sensor Networks)

    • THSS를 활용하여 저전력으로 간섭을 피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적용됨.
  4. RFID 및 IoT(Internet of Things)

    • 여러 개의 RFID 태그가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할 때, THSS를 활용하여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음.

3. 어린이 버전 요약 정리

  1. THSS는 신호를 보낼 시간을 계속 바꿔가면서 보내는 방법이야!
  2. 이렇게 하면 간섭을 피하고, 몰래 듣기도 어려워져!
  3. 초광대역(UWB), 군사 통신, IoT 같은 곳에서 많이 쓰이고 있어!
  4. 하지만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어려울 수도 있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