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구성도, 프로토콜, 연동 방법, 국내 통신위원회의 인터넷전화번호 부여 상황 등에 대해 설명하시오. (25점)
인터넷전화(VoIP, Voice over IP)는 음성 데이터를 IP 네트워크(인터넷)를 통해 패킷 단위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PSTN(공중교환전화망)과 달리, 인터넷을 기반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는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사용자] ─ (IP 전화기 또는 소프트폰) ─ [인터넷] ─ [VoIP 게이트웨이] ─ [PSTN 또는 다른 VoIP 네트워크] ─ [수신자]
구성 요소 | 설명 |
---|---|
IP 전화기(VoIP Phone) | 인터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화기 |
소프트폰(Softphone) | PC, 스마트폰에서 VoIP 통화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
VoIP 게이트웨이 | VoIP와 PSTN 간의 변환 역할 |
SIP 서버(Call Server) | 세션 관리 및 호(Call) 제어 기능 수행 |
IP-PBX | 기업 내 VoIP 통신을 관리하는 사설 전화 교환 시스템 |
인터넷망(ISP) | VoIP 데이터가 전송되는 네트워크 |
PSTN(공중교환전화망) | 기존 전화망과 VoIP의 연동을 담당 |
인터넷전화에서는 신호 처리와 음성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여러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프로토콜 | 설명 |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 전화 연결(세션)을 설정, 변경, 종료하는 신호 프로토콜 |
H.323 | ITU-T에서 정의한 멀티미디어 통신용 프로토콜 |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프로토콜 |
RTCP(RTP Control Protocol) | RTP 패킷의 품질 및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 |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 VoIP 게이트웨이 제어용 프로토콜 |
SCCP(Skinny Client Control Protocol) | 시스코의 독점 VoIP 신호 프로토콜 |
SIP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터넷전화 신호 프로토콜이며, RTP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인터넷전화는 기존 PSTN과 연동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VoIP ↔ VoIP 연결
VoIP ↔ PSTN 연결
VoIP ↔ 이동통신망 연동
IP-PBX와의 연동
국내에서 인터넷전화번호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책에 따라 할당되며, 일반적으로 "070" 번호대가 인터넷전화 전용으로 부여된다.
현재, 일부 사업자들은 010 번호를 VoIP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전화를 이동전화처럼 이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전화는 "인터넷으로 전화를 거는 방법"이야! 원래 전화는 전화선이 있어야 했지만, 이제는 인터넷이 있으면 전화를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카카오톡 전화나 페이스타임 같은 거야!
인터넷전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어!
앞으로는 5G 같은 빠른 인터넷이 나오면서, 더 좋은 인터넷전화가 나올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