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routing 기법 분류

agnusdei·2024년 12월 17일
0

Network

목록 보기
126/419

라우팅(Routing) 기법의 분류 (10점)

라우팅 기법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최적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론입니다. 주요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로 설정 방식에 따른 분류

1)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된 경로를 사용.

  • 네트워크 변경 시 직접 경로를 수정해야 함.

  • 작은 네트워크에서 단순성을 이유로 사용.

    특징:

  • 구현이 간단하고 자원 소모가 적음.

  • 네트워크 변화에 따라 경로 재설정 필요.

2)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 라우터가 자동으로 경로를 계산하고 네트워크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

  • 네트워크가 복잡해질수록 유용.

    특징:

  • 라우터 간 경로 정보 교환 필요.

  • 더 높은 자원 사용(메모리, CPU)과 복잡한 설정.


2. 자율 시스템(AS)의 경계에 따른 분류

1)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단일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사용.
  • RIP, OSPF, EIGRP 등이 대표적.

2)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서로 다른 자율 시스템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
  • BGP(Border Gateway Protocol)가 대표적.

3. 라우팅 알고리즘 방식에 따른 분류

1) 거리 벡터 라우팅(Distance Vector Routing)

  • 인접 라우터 간 거리와 방향(벡터) 정보를 교환하며 경로 설정.

  • RIP이 대표적 예.

    특징:

  • 구현이 단순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부적합.

  • 홉 수 제한, 느린 수렴 속도 등의 단점.

2) 링크 상태 라우팅(Link State Routing)

  • 네트워크 전체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 계산.

  • OSPF, IS-IS 등이 대표적.

    특징:

  • 빠른 수렴 속도와 정교한 경로 계산 가능.

  • 더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함.


4. 클래스풀(Classful) 및 클래스리스(Classless) 라우팅

1) 클래스풀 라우팅(Classful Routing)

  •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IP 클래스(A, B, C)에 따라 경로를 결정.
  •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RIP v1 등에서만 사용).

2) 클래스리스 라우팅(Classless Routing)

  •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포함하여 경로를 결정(CIDR 사용).
  • 효율적인 주소 공간 활용이 가능.

5. 정책 기반 라우팅(Policy-Based Routing, PBR)

  • 트래픽의 속성(출발지, 목적지, 프로토콜 등)에 따라 경로를 설정.
  • QoS(Quality of Service)나 특정 경로 지정 시 사용.

이와 같은 라우팅 기법의 분류를 통해 네트워크 규모와 구조에 적합한 라우팅 전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