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oneM2M 아키텍처의 개념을 설명하고,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답하시오.

agnusdei·2025년 3월 12일
0

Network

목록 보기
325/419

1. 문제

oneM2M 아키텍처의 개념을 설명하고,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답하시오.

가. oneM2M 아키텍처의 엔티티
나. oneM2M 아키텍처의 참조 포인트

(배점: 25점)


2. 답안

2.1. oneM2M 개요

oneM2M은 사물인터넷(IoT) 표준화를 위한 국제 표준화 기구로, 다양한 IoT 기기 및 서비스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공통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즉, oneM2M은 이기종(IoT 플랫폼, 디바이스, 네트워크 등)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을 정의한다.

oneM2M의 아키텍처는 M2M(Machine-to-Machine)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표준 프레임워크로 활용된다.


2.2. 가. oneM2M 아키텍처의 엔티티

oneM2M 아키텍처는 3계층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다양한 엔티티(Entity)로 구성된다.

(1) oneM2M 아키텍처 계층 구조

oneM2M은 크게 3가지 계층으로 구성된다.

계층설명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위치
공통 서비스 계층 (Common Services Layer, CSL)IoT 기기 및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관리, 보안, 제어 기능을 제공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IoT 디바이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

(2) oneM2M 엔티티(Entity) 구성

oneM2M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엔티티로 구성된다.

엔티티약어설명
응용 엔티티AE (Application Entity)IoT 애플리케이션을 담당하는 엔티티 (예: 스마트홈 앱, 헬스케어 앱)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 (Common Services Entity)IoT 기기 관리, 데이터 저장, 보안 등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티티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SE (Network Services Entity)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엔티티

(3) oneM2M 엔티티의 배치 구조

oneM2M 엔티티는 IoT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 단말(Device) 내 엔티티: AE와 CSE가 IoT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음.
  • 게이트웨이(Gateway) 내 엔티티: 여러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중간 계층에서 CSE가 배치됨.
  • 클라우드 내 엔티티: 중앙 서버에서 AE 및 CSE가 배포되어 대규모 IoT 데이터 처리 가능.

2.3. 나. oneM2M 아키텍처의 참조 포인트

oneM2M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 개념을 사용한다. 이는 엔티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효율적인 IoT 서비스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1) oneM2M 참조 포인트 개념

oneM2M에서 정의한 참조 포인트는 AE, CSE, NSE 간의 상호작용을 표준화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2) oneM2M에서 정의된 주요 참조 포인트

참조 포인트연결되는 엔티티설명
McaAE ↔ CSE애플리케이션과 공통 서비스 계층 간의 통신을 담당
MccCSE ↔ CSE서로 다른 CSE 간의 통신을 지원 (예: 게이트웨이-클라우드 간 연결)
McnCSE ↔ NSE공통 서비스 계층과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 간의 통신
Mcc'CSE ↔ 외부 CSE다른 네트워크 도메인(CSE)과의 연결을 담당

(3) oneM2M 참조 포인트의 활용 예시

  • Mca (AE ↔ CSE)
    • 스마트폰의 스마트홈 애플리케이션(AE)이 IoT 플랫폼(CSE)에 연결하여 스마트 조명을 제어함.
  • Mcc (CSE ↔ CSE)
    • 스마트홈 게이트웨이(CSE)가 클라우드 서버(CSE)와 데이터를 주고받음.
  • Mcn (CSE ↔ NSE)
    • IoT 장치에서 4G/5G 네트워크(NSE)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3. 결론

oneM2M 아키텍처는 IoT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AE, CSE, NSE와 같은 엔티티를 정의하고, 이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위해 Mca, Mcc, Mcn 등의 참조 포인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IoT 기기 및 플랫폼이 효율적으로 연동될 수 있으며, 글로벌 IoT 표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