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multicast protocol 종류 나열

agnusdei·2024년 12월 1일
0

Network

목록 보기
80/419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목록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송신자와 수신자 간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IM (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

멀티캐스트 라우팅의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언더레이 네트워크의 라우팅 프로토콜에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 PIM-SM (Sparse Mode)

    • 수신자가 적은 환경에 적합.
    • 공유 트리(Shared Tree)소스 트리(Source Tree)를 지원.
    • 네트워크의 특정 지점에 RP (Rendezvous Point) 설정.
  • PIM-DM (Dense Mode)

    • 수신자가 많은 환경에 적합.
    • 플러딩(Flooding)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 후, 필요 없는 경로를 제거(Pruning).
  • PIM-SSM (Source-Specific Multicast)

    • 특정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연결에 최적화.
    • 소스-그룹(Source-Group, SSM) 방식으로 동작 (예: G 주소와 S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

2. DVMRP (Distance Vector Multicast Routing Protocol)

  • RIP 기반의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멀티캐스트 경로를 계산.
  • 모든 라우터에 플러딩한 후, 불필요한 경로를 제거(Reverse Path Forwarding, RPF).
  • 초기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로 현재는 PIM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음.

3. MOSPF (Multicast Open Shortest Path First)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멀티캐스트 기능을 지원.
  • 링크 상태 라우팅(Link-State Routing) 방식으로 동작.
  •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멀티캐스트 그룹 정보를 공유.

4. BGMP (Border Gateway Multicast Protocol)

  •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인터넷 경계 라우팅을 관리.
  • AS(Autonomous System) 간의 멀티캐스트 경로를 설정하고 관리.
  • 다중 관리 도메인 환경에서 적합.

5. MSDP (Multicast Source Discovery Protocol)

  • PIM-SM 환경에서 다중 R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 송신자 정보를 공유.
  • RP 간의 소스 정보를 교환하여 서로 다른 도메인의 멀티캐스트를 연결.

6. MLDv1/v2 (Multicast Listener Discovery)

  • IPv6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라우팅에 활용되는 프로토콜.
  • IGMP의 역할을 IPv6로 확장한 기능.
  • 수신자 멤버십 정보를 라우터로 전달하여 라우팅 경로에 반영.

7. CBT (Core-Based Tree)

  • 중심 노드(Core)를 기준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모든 그룹 트래픽이 중심 노드를 통해 전달됨.
  • 트리 구조가 단순해지지만, 중심 노드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음.

8. MRM (Multicast Routing Monitor)

  •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실제 데이터 전송과는 무관하며, 라우팅 문제를 감지 및 분석.

결론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크기, 트래픽 패턴, 수신자 분포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현대 환경에서는 PIM-SM, PIM-SSM, MSDP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