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개념과 장점, 활용 분야를 서술하고,
SAN(Storage Area Network)과 NAS의 차이점을 다음 관점으로 상세히 비교하시오:
Protocol, Latency, Application, Server H/W (하드웨어). (25점)
2. 답안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개념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 즉 네트워크에 연결된 파일 기반 저장 장치이다.
TCP/IP 네트워크(예: 이더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 운영체제와 파일 시스템을 통해 파일 단위 접근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NAS를 일반 파일 서버처럼 접근하며, 클라이언트는 파일 단위로 요청하고 NAS가 이를 처리한다.
● 장점
- 간단한 설치 및 구성: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쉽게 설치 가능
- 운영체제 독립성: 다양한 OS(Windows, Linux, macOS 등)에서 접근 가능
- 저렴한 구축비용: 고가의 장비나 전용 네트워크 불필요
- 쉬운 확장성: 저장 공간 증설이 간단함
- 동시 접속 지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 접근 가능
● 활용 분야
- 사내 파일 서버
- 개인 및 가정용 클라우드 저장소
-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버 (예: CCTV 저장, 스트리밍 서버)
- 중소기업용 백업 서버
- 문서 공유 플랫폼
■ SAN (Storage Area Network)
● 개념
SAN은 Storage Area Network, 즉 서버와 저장장치 간의 고속 전용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SAN은 저장장치를 서버에 직접 연결된 블록 디바이스(Block Device)처럼 제공한다.
서버는 스토리지를 로컬 디스크처럼 인식하며, 파일 시스템을 서버 측에서 직접 관리한다.
주로 Fibre Channel(FC)이나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등의 전용 프로토콜과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 장점
- 고성능: Fibre Channel 기반의 전용 고속 네트워크로 낮은 지연시간과 높은 대역폭 제공
- 대규모 스토리지 관리: 수백 대 이상의 서버와 스토리지를 통합적으로 운영 가능
- 데이터 보호 및 중복 제거: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이중화 구성에 최적
- 블록 수준 접근: 고속 트랜잭션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에 최적화
● 활용 분야
- 대규모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인프라
- 가상화 플랫폼 (VMware, Hyper-V 등)
-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시스템
- 고속 IOPS(입출력 횟수)를 요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 백업/복구 및 DR(재해 복구) 시스템
■ NAS vs SAN 비교
(1) Protocol (사용 프로토콜)
-
NAS:
- 파일 단위 전송
- NFS(Network File System, 유닉스 계열),
SMB(Server Message Block, 윈도우 계열),
FTP, HTTP 등 고수준 프로토콜 사용
-
SAN:
- 블록 단위 전송
- FCP(Fibre Channel Protocol),
iSCSI(Internet SCSI),
NVMe-oF(NVMe over Fabrics) 등 저수준 전송 프로토콜 사용
(2) Latency (지연 시간)
-
NAS:
- 일반 IP 네트워크(TCP/IP) 사용 → 상대적으로 높은 지연 시간
- NAS 장비 내에서 파일 시스템 처리 발생 → 처리 오버헤드 존재
-
SAN:
- Fibre Channel 또는 iSCSI 기반 전용 네트워크 사용
- 서버가 직접 파일 시스템 관리 → 낮은 지연 시간, 빠른 응답속도
(3) Application (활용 분야)
-
NAS:
- 일반적인 문서 저장, 파일 공유, 미디어 저장 등
- 파일 단위 I/O 중심 업무에 적합
-
SAN:
- 고속 처리 요구 시스템 (DB, ERP, 가상화 환경)
- 블록 단위 I/O 중심의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4) Server H/W (서버 하드웨어 관점)
-
NAS:
- NAS 장비 자체에 CPU, RAM, OS, 파일 시스템 존재
- 클라이언트 서버는 NAS를 네트워크 파일 서버처럼 사용
- 고급 하드웨어 불필요, 일반 네트워크 카드(NIC) 사용
-
SAN:
- SAN 스토리지를 디스크처럼 인식하고 직접 파일 시스템 구성
- 고성능 HBA(Host Bus Adapter), iSCSI 카드 필요
- 전용 스위치(SAN Switch), 이중화 구성 등 고급 하드웨어 필요
3.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
현대 IT 인프라는 가상화, 클라우드, 대규모 데이터 처리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NAS와 SAN은 각각 다음 방향으로 진화 중이다:
-
NAS는 클라우드 NAS, 하이브리드 NAS, 오브젝트 스토리지와 결합하여
중소규모 파일 처리, 협업 플랫폼, 원격 백업 등에서 계속 활용되고 있다.
-
SAN은 여전히 고속 처리와 고가용성 요구 환경에서 주력으로 사용되며,
특히 NVMe-oF 기반 초고속 SAN 환경이 차세대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
동시에, SDS(Software Defined Storage)와 같은 기술은 NAS/SAN 경계를 넘어서
유연하고 통합된 스토리지 플랫폼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4. 어린이 버전 설명
-
NAS는 "공유 파일함" 같아.
집이나 학교에서 컴퓨터 여러 대가 한 폴더를 같이 쓰는 거야.
문서나 사진 같은 파일을 서로 넣고 꺼낼 수 있어.
-
SAN은 "빨리 달리는 숨겨진 하드디스크" 같아.
겉으로는 내 컴퓨터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빠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방에 있는 저장소야.
아주 빠르게 자료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어!
-
NAS는 쓰기 쉽고 저렴해서 작은 회사나 집에서 좋아.
-
SAN은 빠르고 강해서 병원이나 대기업 서버에서 많이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