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IEEE 표준에 규정된 유·무선 LAN을 활용하여 500m 반경에서 10Mbps 이상의 속도로 LAN을 구축하는 방법과, 장단점 및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MAC 계층(Media Access Control Layer) 관점에서 분석하시오.
1. 개념
- 유선 LAN (Local Area Network):
이더넷 기반으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IEEE 802.3 표준에 기반.
- 무선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를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IEEE 802.11 표준에 기반.
2. 요구사항 분석
- 500m 반경:
- 비교적 넓은 지역에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므로 무선 LAN 활용이 적합.
- 10Mbps 이상 속도:
- 현대 무선 LAN 표준(IEEE 802.11n, 802.11ac, 802.11ax 등)은 최소 10Mbps 이상 제공.
- 유선 LAN은 대역폭 안정성이 더 우수하므로 보조적으로 활용 가능.
3. 구축 방안
(1) 무선 LAN 활용 (IEEE 802.11 표준)
- 구성 요소:
- Access Point (AP): 신호 송수신 역할.
- Client Device: 스마트폰, POS 단말 등 네트워크 접속 장치.
- Backhaul: AP 간 유선 연결 또는 메쉬 네트워크 구성.
- 추천 표준:
- IEEE 802.11n (2.4GHz/5GHz): 최대 600Mbps 대역폭 지원.
- IEEE 802.11ac/ax (Wi-Fi 5/6): 높은 대역폭과 성능 제공.
(2) 유선 LAN 활용 (IEEE 802.3 표준)
- 구성 요소:
- Switch (스위치): 네트워크 장비 간 데이터 송수신.
- Ethernet Cable (이더넷 케이블): 기가비트 속도 지원, Cat5e 이상 권장.
- Router (라우터): 인터넷 연결 및 IP 주소 관리.
- 역할:
- 주요 AP 간 유선 연결로 트래픽 안정성 확보.
- 데이터센터 및 네트워크 코어 연결.
4.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1) 무선 LAN (IEEE 802.11)
- 주파수 대역:
- 2.4GHz: 넓은 범위, 장애물 관통성 우수 (간섭 가능성 높음).
- 5GHz: 대역폭 넓음, 간섭 적음, 하지만 도달 범위는 짧음.
- 변조 방식: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고속 데이터 전송 지원.
-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데이터 전송 효율성 강화.
(2) 유선 LAN (IEEE 802.3)
- 케이블 종류:
- UTP (Unshielded Twisted Pair): 일반적인 이더넷 케이블.
- Fiber Optic Cable: 장거리 및 초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
- 속도 지원:
- Fast Ethernet (100Mbps), Gigabit Ethernet (1Gbps 이상).
(1) 무선 LAN (IEEE 802.11)
-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 무선 환경에서 충돌 방지를 위해 전송 전에 채널 상태를 확인.
- 프레임 구조:
-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헤더 및 보안 정보 포함.
- 비콘(Beacon):
- AP가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네트워크 상태 및 연결 정보 제공.
(2) 유선 LAN (IEEE 802.3)
-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충돌 발생 시 재전송 메커니즘.
- 스위치 환경에서는 충돌 최소화.
- 프레임 구조:
- Ethernet Frame: 헤더, 데이터, CRC(Cyclic Redundancy Check) 포함.
6. 장단점 분석
(1) 무선 LAN (Wireless LAN)
- 장점:
- 설치 유연성: 케이블 없이 손쉽게 설치 가능.
- 이동성 제공: 사용자가 이동하면서도 네트워크 접속 가능.
- 확장성: 추가 장치 설치 용이.
- 단점:
- 간섭 문제: 2.4GHz 대역에서 간섭 가능성.
- 보안 우려: 데이터가 공중으로 전송되어 보안 취약.
- 대역폭 제한: 유선 LAN 대비 속도 및 안정성 부족.
(2) 유선 LAN (Wired LAN)
- 장점:
- 안정성: 대역폭이 안정적이며 간섭이 적음.
- 보안성: 물리적 연결을 통해 데이터 전송.
- 고속 지원: 기가비트 이상의 데이터 전송 가능.
- 단점:
- 설치 복잡성: 케이블링 및 장비 설치에 시간과 비용 소요.
- 이동성 부족: 고정된 위치에서만 사용 가능.
- 확장성 제한: 물리적 네트워크 구성 필요.
7. 결론 및 제언
- 혼합형 네트워크 권장:
- 무선 LAN: 고객 및 쇼핑몰 내부 이동성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주요 네트워크로 사용.
- 유선 LAN: 주요 AP 간 백홀 연결 및 코어 네트워크에 활용.
- 최적 표준 및 장비 선택:
- IEEE 802.11ax (Wi-Fi 6): 높은 대역폭과 성능.
- Cat6 Ethernet Cable: AP 간 고속 연결 지원.
- 보안 강화 필요: WPA3와 같은 무선 보안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 보안 강화.
- 확장성 고려: 미래 트래픽 증가를 대비한 스위치 및 라우터 확장 계획 수립.
8. 쉽게 요약
500m 반경의 쇼핑몰에 LAN을 구축하려면 Wi-Fi (무선 LAN)과 유선 LAN을 혼합하여 설치하는 것이 최적입니다. Wi-Fi는 이동성을 제공하고 유선 LAN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IEEE 802.11 표준과 802.3 표준을 기반으로 설계하며, 무선은 CSMA/CA, 유선은 CSMA/CD를 활용합니다. 무선의 설치 유연성과 유선의 속도 및 안정성을 조합하여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