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렁크 링크(Trunk Link)는 네트워크에서 여러 개의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위치 간의 링크이다. 단순한 액세스 링크(Access Link)와 달리, 트렁크 링크는 하나의 물리적 연결을 통해 다수의 VLAN 트래픽을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VLAN 태깅(VLAN Tagging) 기술이 사용된다.
과거에는 VLAN을 구성할 때 각 VLAN마다 개별적인 물리적 연결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포트 소모가 많고, 관리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초래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물리적 링크에서 여러 VLAN의 트래픽을 다룰 수 있는 트렁크 링크 개념이 등장했다.
목적
트렁크 링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다중 VLAN 전송: 하나의 링크를 통해 여러 VLAN의 데이터를 전달함.
2. VLAN 태깅 처리: VLAN 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목적지에서 이를 해석하여 적절한 VLAN으로 분배.
3. 스위치 간 VLAN 확장: 서로 다른 VLAN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여러 스위치에 걸쳐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
4. 네트워크 효율성 증대: 별도의 물리적 링크 없이 논리적으로 VLAN을 구분하여 트래픽을 처리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 가능.
트렁크 링크는 주로 스위치 계층에서 사용되며,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활용된다.
액세스 계층 (Access Layer)
디스트리뷰션 계층 (Distribution Layer)
코어 계층 (Core Layer)
트렁크 링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VLAN 태깅(Tagging) 프로토콜
트렁크 포트 설정
switchport mode trunk
명령을 사용하여 트렁크 모드 활성화. 네이티브 VLAN(Native VLAN)
트렁크 링크가 작동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렁크 링크는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설정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IEEE 802.1Q (Dot1Q)
ISL (Inter-Switch Link, Cisco 전용)
Dynamic Trunking Protocol (DTP)
✅ 스위치 포트 절약: 여러 VLAN을 하나의 링크로 처리하여 물리적 포트 사용을 최소화.
✅ 네트워크 확장성 증가: VLAN을 여러 스위치로 확장 가능.
✅ 중앙 집중 관리 가능: VLAN을 통한 논리적 네트워크 분할 및 관리가 용이.
✅ 대역폭 효율성 증가: 단일 링크에서 다수의 VLAN을 처리할 수 있어 대역폭 활용 극대화.
❌ 설정 오류 가능성: 트렁크 설정이 잘못되면 네트워크 장애 발생 가능.
❌ 보안 위험: VLAN 호핑(VLAN Hopping) 공격 가능성 존재(네이티브 VLAN 보안 설정 필요).
❌ 대역폭 한계: 다수의 VLAN 트래픽이 한 개의 물리적 링크를 공유하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으면 성능 저하 가능.
트렁크 링크는 네트워크 확장성과 효율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그러나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것이다.
트렁크 링크는 여러 VLAN의 트래픽을 단일 물리적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포트 절약, VLAN 확장성 증가,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 등의 장점이 있지만, 보안과 대역폭 관리가 중요하다. IEEE 802.1Q 태깅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향후 LACP, VXLAN 등의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발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