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개발한 3세대(3G) 이동통신 표준으로, 광대역 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기존의 2G 이동통신(예: GSM, IS-95)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고,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3GPP에서 개발한 IMT-2000(국제 이동통신) 표준 중 하나
✅ 5MHz 대역폭 사용 →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기반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 가능
✅ 패킷 데이터 서비스 지원 → 영상 통화, 모바일 인터넷, 스트리밍 등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제공
✅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Time Division Duplex) 지원
항목 | WCDMA (3GPP) |
---|---|
대역폭 | 5MHz |
다중 접속 방식 |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
변조 방식 | QPSK(쿼드러처 위상 편이 변조) |
전송 속도 | 최대 2Mbps (기본 WCDMA), HSPA 적용 시 14Mbps 이상 |
핵심 기술 | OVSF(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직교 가변 확산 계수) 사용 |
5MHz 대역폭 사용
→ 기존의 2G CDMA(1.25MHz)보다 넓은 주파수를 활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 가능
OVSF(직교 가변 확산 계수) 사용
→ 사용자별로 고유한 코드(Spreading Code)를 부여하여 간섭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이후 HSDPA 등에서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방식도 활용
FDD & TDD 모드 지원
WCDMA는 이후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기술을 통해 더욱 발전하였으며, LTE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구분 | WCDMA (3GPP) | CDMA2000 (3GPP2) |
---|---|---|
대역폭 | 5MHz | 1.25MHz |
표준화 기구 | 3GPP | 3GPP2 |
주요 사용 지역 | 유럽, 아시아, 일본 등 | 미국, 한국 일부 |
최대 속도 | 2Mbps (기본), HSPA 적용 시 14Mbps 이상 | 2.4Mbps (1xEV-DO) |
기반 기술 | GSM/GPRS에서 발전 | CDMA(IS-95)에서 발전 |
WCDMA는 3GPP에서 개발한 3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로, 5MHz의 넓은 대역폭과 CDMA 방식을 결합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 표준입니다. 또한, HSPA(고속 패킷 접속) 기술을 통해 더욱 발전하였으며, 이후 LTE(4G)로 진화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WCDMA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채택되었으며, 특히 유럽, 일본, 한국 등에서 3G 서비스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었습니다.
WCDMA는 3세대(3G) 이동통신 기술이야.
핸드폰으로 영상통화도 하고, 인터넷도 빠르게 할 수 있게 만든 기술이라고 보면 돼!
비슷한 3G 기술로 CDMA2000이 있는데, WCDMA랑 비교하면 이렇게 달라!
구분 | WCDMA | CDMA2000 |
---|---|---|
📡 대역폭(주파수 폭) | 5MHz (넓음) | 1.25MHz (좁음) |
🌏 어디서 많이 씀? | 유럽, 아시아 (한국, 일본 포함) | 미국, 한국 일부 |
🚀 속도 | 2Mbps (HSPA 적용 시 14Mbps 이상) | 2.4Mbps (EV-DO 적용 시) |
WCDMA는 점점 발전해서 HSPA → LTE(4G) → 5G로 진화했어!
📢 WCDMA는 3G 이동통신 기술로, 빠른 인터넷과 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만든 중요한 기술이야! 🚀
WCDMA는 CDMA 방식을 사용해!
💡 비유하자면?
👉 WCDMA는 여러 사람이 한 개의 넓은 도로(5차선 도로)에서 동시에 운전하는 것과 비슷해.
👉 각 차선에 다른 색깔을 칠해서(코드) 차량을 구분하지만, 차량이 많아지면 결국 도로가 혼잡해져서 속도가 느려짐.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LTE와 5G에서 쓰는 방식이야!
💡 비유하자면?
👉 OFDMA는 고속도로에서 차선을 여러 개의 작은 도로로 쪼개고, 신호등 없이 빠르게 가는 것과 같아!
👉 차가 많아져도 각 도로(서브캐리어)로 분산되니까 혼잡 없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
구분 | WCDMA (CDMA 방식) | OFDMA (LTE, 5G 방식) |
---|---|---|
📡 주파수 사용 방식 | 하나의 큰 주파수를 다 같이 사용 | 주파수를 여러 개로 나눠서 효율적으로 사용 |
🚦 데이터 전달 방식 | 코드(Code)로 사용자 구분 | 주파수를 쪼개서 사용자별로 할당 |
⚡ 속도 | 상대적으로 느림 (최대 14Mbps) | 훨씬 빠름 (100Mbps 이상) |
🔄 간섭 문제 | 사용자가 많아지면 간섭 증가 | 간섭이 적고 속도가 안정적 |
📢 OFDMA는 데이터를 작은 길(서브캐리어)로 나눠서 보내기 때문에, WCDMA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