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TRS (Trunked Radio System)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설명하고, PS-LTE와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TRS (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 무선 통신 시스템)는
다수의 사용자 그룹이 제한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중앙 제어국이 자동으로 채널을 할당하는 디지털 무전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인 무전기(단순 교신 방식)와 달리, 중앙 제어국이 통신 경로를 자동 설정해 효율적 자원 운용이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핵심 키워드: 중앙제어, 주파수 공유, 그룹통신, 디지털 무전
역할 구분 | 설명 |
---|---|
제어국 | 채널 관리 및 자동 할당 (트렁킹 제어) |
사용자 단말 | 음성 통신 수행 (휴대형·차량형 무전기 등) |
사용자 그룹 | 직무별·기관별 통신 그룹 구성 (예: 119팀, 경찰팀 등) |
시스템 연계 | 교환기, 전화망과 연계 가능 (PSTN 연동) |
구성요소 | 설명 |
---|---|
CC (Control Channel) | 단말 등록, 채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 송수신 |
TC (Traffic Channel) | 실제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 |
중앙 제어기 | 채널 및 사용자 그룹 관리, 우선순위 제어 |
기지국 (Base Station) | 무선 통신 송수신 처리 |
이동국 (Mobile Station) | 사용자 단말 (휴대형/차량형 무전기 등) |
망 연동 장치 | PSTN, PBX 등 외부망 연결 |
종류 | 설명 |
---|---|
Analog TRS | 아날로그 방식, 혼신·보안에 취약 |
Digital TRS | 디지털 방식, 보안·품질 향상 (현재 주류) |
Conventional TRS | 고정 채널 방식 (비효율적) |
Smart TRS | 중앙제어 기반 자동 채널 할당 방식 (효율적) |
TETRA (Terrestrial Trunked Radio) | 유럽 기반 디지털 TRS 표준 (PS-LTE 이전 단계 기술) |
항목 | TRS (Trunked Radio System) | PS-LTE (Public Safety LTE) |
---|---|---|
통신 형태 | 음성 중심 협대역 | 음성 + 데이터 + 영상 광대역 |
주파수 자원 | 중앙 제어 기반 공유 | LTE 주파수 활용 (Band 28 등) |
장비 구성 | 무전기 중심 | 스마트 단말, 차량기지국 등 |
확장성 | 한정적 (채널 한계) | 유연함 (IP 기반 확장 용이) |
보안성 | 보안 기능 일부 지원 | IMS 기반 보안 강화 |
발전 방향 | 유지 or PS-LTE 연동 | 5G PS-LTE로 진화 중 |
TRS는 경찰이나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무전기 시스템이에요.
여러 팀이 한정된 통신 채널을 서로 나눠 쓰도록 중앙에서 똑똑하게 관리해줘요.
하지만 영상이나 사진은 보낼 수 없고, 말만 할 수 있어서, 요즘은 PS-LTE처럼 스마트폰처럼 생긴 통신 시스템으로 바꾸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