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VP QoS

agnusdei·2024년 12월 3일
0

Network

목록 보기
87/419

문제

Q: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의 개념과 자원 예약 단계를 설명하시오.


1. 개념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 대역폭 및 자원 예약 프로토콜: 네트워크 대역폭 및 기타 자원을 예약하기 위해 IETF에서 표준화한 QoS 프로토콜.
  • 특징:
    1. Flow 단위 상태 유지: 각 데이터 흐름(Flow)의 QoS 요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태 유지.
    2.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지원: 단일 송신자와 다수 수신자 환경 모두에서 작동.
    3. 수신자 주도: 자원 예약 요구는 수신 측에서 시작.
    4. Soft State 관리: 자원 예약 상태를 주기적으로 갱신 및 재설정.
    5. 라우팅 프로토콜 독립적: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과 별개로 작동.
    6. 단방향 자원 예약: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흐름을 설정.

2. RSVP 자원 예약 단계

  1. 경로 설정 단계 (Path Setup)

    • 송신자는 PATH 메시지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경로를 설정.
    • PATH 메시지는 IP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전달됨.
    • 각 라우터는 PHOP(Previous Hop) 객체를 통해 이전 홉 정보를 기록.
    • 수신 측은 PATH 메시지를 통해 경로 정보를 획득하고 송신자로의 역경로를 설정.
  2. 자원 예약 단계 (Resource Reservation)

    • 수신 측에서 송신자로 RESV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원 예약 요청.
    • RESV 메시지의 구성:
      • Filter Spec: 자원 요구의 대상 송신자 정보.
      • Flow Spec: 트래픽 및 QoS 요구 사항 정보.
    • 경로상의 각 라우터는 예약 요청을 처리하고, 충분한 자원이 있으면 해당 흐름을 위한 자원을 할당.

3. 주요 특징 및 작동 원리 요약

  • Signaling Protocol: 네트워크에서 자원 예약을 위한 신호 메시지 전달.
  • End-to-End 관리: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경로를 설정하고, 자원 요청은 역경로로 처리.
  • 유연성: 수신자의 다양한 QoS 요구를 수용하며, 경로 변경 시에도 동적으로 재설정 가능.

RSVP는 QoS를 보장하기 위해 정교한 자원 예약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확장성과 오버헤드 문제로 대규모 네트워크보다는 소규모 또는 특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