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R (Resilient Packet Ring)
1. 개념
RPR (Resilient Packet Ring)는 광통신 네트워크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IEEE 802.17 표준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링 형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대역폭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빠른 장애 복구를 지원합니다.
2. 등장배경 & 목적
-
등장배경
- 2000년대 초, 인터넷 트래픽의 급증과 광통신망의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장애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했습니다.
- 기존 SONET/SDH 기술은 고정된 대역폭 할당으로 인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
목적
- 데이터 전송 대역폭의 효율적 사용.
- 네트워크 장애 시 빠른 복구를 통한 서비스 지속성 확보.
- 링 네트워크의 트래픽 관리 및 부하 분산.
3. 역할
- 고속 데이터 전송 및 트래픽 관리.
- 네트워크 장애 복구 (50ms 이내).
- 대역폭 동적 할당으로 효율 극대화.
- 멀티서비스 트래픽 (음성, 비디오, 데이터) 통합 전송.
4. 활용 계층 또는 범위
- 통신 네트워크: 메트로 이더넷(Metro Ethernet) 및 광통신 백본망.
- 기업망: 안정성과 대역폭 효율이 중요한 대규모 네트워크.
- 서비스 제공자: ISP 및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5. 구성요소
- 링 구조 (Dual Counter-Rotating Ring): 두 개의 링으로 장애 복구 및 부하 분산.
- MAC(Media Access Control): 트래픽 관리 및 대역폭 할당 제어.
-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보장.
- Topology Discovery: 링 구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최적화.
6. 시간순 작동 순서
- 트래픽 입력: 사용자 트래픽이 네트워크에 입력.
- MAC 계층 처리: 트래픽 우선순위 및 대역폭 제어.
- 링 내 전송: 트래픽이 지정된 경로로 전달.
- 장애 발생: 특정 경로에서 장애 발생 시 반대 방향 링으로 트래픽 전환.
- 복구 완료: 50ms 이내에 트래픽 경로 복구.
7. 종류
- 단일 링 (Single Ring): 하나의 링 구조로 구성된 네트워크.
- 이중 링 (Dual Ring): 장애 복구와 부하 분산을 위한 두 개의 링 사용.
- 하위 링 (Sub-Ring): 계층적 링 구조로 확장성 증가.
8. 장단점
-
장점:
- 빠른 장애 복구 속도 (50ms 이내).
- 대역폭 효율성 극대화.
- 동적 트래픽 관리 및 QoS 보장.
-
단점:
- 복잡한 구현 및 관리.
- SONET/SDH와의 완전한 호환성 부족.
- 특정 환경에서의 비용 문제.
9. 전망 & 개선점
-
전망:
- 5G 및 차세대 네트워크의 백홀 기술로 활용 가능.
- 메트로 네트워크에서 저비용 대역폭 확장 솔루션으로 주목.
-
개선점:
- 새로운 트래픽 패턴에 맞는 MAC 계층 최적화.
- 다른 프로토콜과의 호환성 강화.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와 통합.
10. 쉽게 요약
RPR은 광통신 네트워크의 링 구조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고,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하는 기술입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을 동적으로 관리하며,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