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tenancy

agnusdei·2025년 2월 13일
0

Network

목록 보기
250/419

Multitenancy (멀티 테넌시) 개념 및 기술적 설명

1. 개념

Multitenancy(멀티 테넌시)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인스턴스(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가 여러 개의 개별 고객(테넌트, Tenant)을 동시에 지원하는 아키텍처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공유하면서도 각자의 데이터와 설정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등장배경 & 목적

(1) 등장배경

  • 기존에는 Single-Tenant(단일 테넌트) 방식으로 각 고객마다 별도의 인프라(서버,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해야 했음.
  • 클라우드 환경 확산과 함께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이 대중화되면서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고객이 공유하는 방식 필요.
  •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을 위해 멀티 테넌트 아키텍처가 등장.

(2) 목적

  • 리소스 공유: 여러 고객이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프라 비용 절감.
  • 운영 효율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를 단일 환경에서 수행하여 관리 부담 감소.
  • 확장성(Scalability):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효율적으로 처리.
  • 비용 최적화: 테넌트별 별도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함으로써 경제적 이점 제공.

3. 역할

Multitenancy는 클라우드 환경, SaaS 서비스,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애플리케이션 공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여러 고객이 사용.
  • 데이터 격리: 테넌트별 데이터 접근을 분리하여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 사용자 맞춤 설정: 테넌트별 UI, 설정, 권한 등을 개별적으로 구성 가능.
  • 운영 비용 절감: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을 공유하여 효율성 증대.

4. 활용 계층 또는 범위

Multitenancy는 다양한 계층에서 활용된다.

구분설명예시
애플리케이션 레벨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고객이 공유Gmail, Microsoft 365, Salesforce
데이터베이스 레벨하나의 DB 내에서 여러 고객의 데이터를 분리 저장AWS RDS, Google Cloud Spanner
네트워크 레벨하나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여러 고객이 공유AWS VPC, Azure Virtual Network

5. 구성요소

Multitenancy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테넌트(Tenant)

  • 개별 고객(회사, 사용자 그룹)
  • 각 테넌트는 독립된 데이터, 설정, 사용자 계정을 가짐

(2) 멀티 테넌트 애플리케이션

  • 여러 테넌트를 지원하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코드베이스
  • 테넌트별로 설정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

(3) 데이터 저장 방식

  • 개별 테넌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 (DB 분리 또는 공유)

(4) 인증 및 권한 관리

  • 테넌트별 사용자 관리, 권한 제어
  • 예: OAuth, OpenID Connect, SAML 인증

(5) 리소스 할당 및 격리

  • CPU, 메모리, 네트워크 등을 테넌트별로 분배
  • 보안 및 성능 최적화를 위해 격리 필요

6. 시간순 작동 순서

  1.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테넌트 정보 확인)
  2. 테넌트별 환경 설정 및 데이터 로드
  3. 사용자가 요청을 수행하면 테넌트별 맞춤 설정에 따라 응답 제공
  4. 테넌트별 리소스 할당 및 데이터 격리 유지
  5. 서비스 운영 및 유지보수 (업데이트, 성능 최적화)

7. 종류 (멀티 테넌트 아키텍처 유형)

Multitenancy는 데이터 저장 방식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뉜다.

구분설명장점단점
단일 데이터베이스, 공유 스키마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며 모든 테넌트가 동일한 테이블을 공유관리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데이터 격리 어려움, 성능 이슈 가능
단일 데이터베이스, 개별 스키마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테넌트별 개별 스키마 사용보안 및 성능 개선DB 크기 증가 시 성능 저하
개별 데이터베이스테넌트마다 독립적인 DB를 사용데이터 보안 및 격리 우수관리 복잡, 운영 비용 증가

8. 장단점

(1) 장점

  • 운영 비용 절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를 공유하여 비용 절감
  • 효율적인 유지보수: 모든 테넌트에 대해 동시에 업데이트 및 패치 가능
  • 확장성: 새로운 고객(테넌트)을 쉽게 추가 가능
  • 리소스 최적화: 클라우드 환경에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분

(2) 단점

  • 보안 이슈: 여러 테넌트가 동일한 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데이터 격리 필요
  • 성능 문제: 한 테넌트의 과도한 사용이 다른 테넌트에 영향을 줄 가능성 있음
  • 맞춤형 기능 제한: 개별 테넌트별 맞춤 기능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음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어려움: 특정 테넌트만 독립적인 환경으로 전환하는 것이 복잡할 수 있음

9. 전망 & 개선점

(1) 전망

  • SaaS 및 클라우드 서비스 증가: 멀티 테넌시는 SaaS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아키텍처로 자리 잡음
  • 컨테이너 및 Kubernetes 기반 멀티 테넌시: 가상화 및 컨테이너 기술을 활용한 격리 수준 향상
  • AI 기반 리소스 최적화: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테넌트별 리소스를 자동 조정하는 기술 발전

(2) 개선점

  • 데이터 격리 강화: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솔루션 적용 (예: AWS IAM, Azure AD)
  • 성능 최적화: 테넌트별 QoS(Quality of Service) 적용하여 과부하 방지
  • 하이브리드 멀티 테넌시 모델: 공유 및 독립 데이터베이스 방식을 혼합하여 유연성 확보

10. 결론 (쉽게 요약)

Multitenancy(멀티 테넌시)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를 여러 고객(테넌트)이 공유하는 방식으로, SaaS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수적인 아키텍처이다. 이를 통해 운영 비용 절감, 확장성 확보, 유지보수 효율화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보안 및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데이터 격리 강화, 컨테이너 기술 활용, AI 기반 최적화 등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