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설명
1. 개념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는 Frame Relay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논리적인 연결 식별자입니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가상 회선(Virtual Circuit)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네트워크 내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경로를 지정합니다.
- 물리적 장비가 아닌 논리적 경로(Logical Path)를 나타냅니다.
2. 등장 배경 & 목적
- 등장 배경
Frame Relay는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기술을 사용하며, 여러 가상 회선을 동일한 물리적 링크에서 지원하기 위해 DLCI가 도입되었습니다.
- 목적
- 물리적 링크를 공유하면서도 각 연결을 고유하게 식별.
-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 연결의 논리적 경로를 지정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 경로를 최적화.
3. 역할
- 가상 회선을 식별하여 데이터가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되도록 함.
- Frame Relay 스위치가 데이터 프레임을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도록 라우팅 정보를 제공.
- DLCI 번호는 네트워크 장치 간에 고유하며, 패킷이 올바르게 송수신되도록 경로를 제어.
4. 활용 계층 또는 범위
- OSI 7계층의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에서 동작.
- Frame Relay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5. 구성 요소
DLCI는 Frame Relay의 주소 필드(Address Field)에 포함됩니다.
- DLCI 번호
- 10비트 필드로 구성되며, 0~1023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 0~15, 1008~1023은 예약됨(네트워크 관리 및 특수 용도).
- 실제 사용 가능한 범위는 16~1007입니다.
6. 시간순 작동 순서
- DLCI 할당
- 가상 회선이 설정되면 네트워크 관리자가 각 연결에 고유한 DLCI를 할당.
- 프레임 전송
- 데이터 프레임이 생성되면, 주소 필드에 해당 DLCI를 포함.
- 경로 식별
- Frame Relay 스위치는 DLCI를 기반으로 데이터가 어떤 포트로 이동해야 하는지 결정.
- 목적지 전달
- 수신 측 Frame Relay 스위치가 DLCI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올바른 목적지로 전송.
7. 종류
DLCI는 특정 유형으로 구분되지는 않지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지역 DLCI(Local DLCI)
- 특정 링크에서만 유효하며, 전역적으로 고유하지 않습니다.
- 전역 DLCI(Global DLCI)
- 네트워크 전체에서 고유하게 사용됩니다(일부 네트워크 구성에서 활용).
8. 장단점
- 장점
- 단일 물리적 링크로 다중 가상 회선 지원.
- 네트워크 자원 효율화.
- 간단한 주소 체계로 빠른 데이터 전달 가능.
- 단점
- 지역적 유효성으로 인해 특정 상황에서 관리가 복잡.
-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 기능은 상위 계층에 의존.
9. 전망 & 개선점
- 전망
- Frame Relay 기술의 활용이 줄어들면서 DLCI의 사용 사례도 감소.
- 그러나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에서는 여전히 사용.
- 개선점
- 현대 네트워크 프로토콜(IP/MPLS 등)과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변환 기술 필요.
-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화 도구 도입 가능.
10. 쉽게 요약
- DLCI는 Frame Relay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경로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입니다.
- 16~1007 범위의 숫자로, 데이터 패킷이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제어합니다.
- DLCI는 물리적 연결이 아닌 논리적 연결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