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Network 클라우드 네트워크와 전통적인 네트워크

agnusdei·2025년 4월 8일
0

Network

목록 보기
386/419

❓문제

클라우드 네트워크에 대해 개념, 등장배경, 역할, 활용계층, 구성요소, 동작 순서, 종류, 장단점, 전통 네트워크와의 비교, 전망 및 어린이 버전 요약을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답안


1. 개념 (Concept)

클라우드 네트워크(Cloud Network)란,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성과 제어를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화된 환경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모델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물리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추상화하여, 유연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확장성(Scalability), 자동화(Automation)를 가능하게 한다.

즉, 네트워크 기능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구조로, 물리적 제약 없이 동적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2. 등장배경 & 목적 (Background & Purpose)

■ 등장배경

  •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장과 함께, 네트워크도 가상 머신(VM), 컨테이너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변화할 필요가 생김
  • 기존 네트워크는 장비 중심, 고정적 설계 → 확장성, 민첩성 부족
  • 네트워크 서비스도 서비스형(aaS) 형태로 제공해야 할 필요성 대두

■ 목적

  • 네트워크 구성 자동화 및 빠른 서비스 배포 지원
  • 물리 인프라로부터 분리된 가상화된 네트워크 자원 제공
  • 운영 효율성, 서비스 연속성, 비용 절감 실현

3. 역할 (Roles)

역할설명
연결성 제공가상 머신(VM), 컨테이너, 스토리지, 데이터 간 통신을 연결
보안 제어ACL, 방화벽, 라우팅 등을 가상 환경에서 제어
트래픽 최적화가상 스위치, 가상 라우터, 가상 로드밸런서를 통해 트래픽 조정
멀티테넌시 지원사용자별 독립적인 네트워크 환경 제공
자동화 · 오케스트레이션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네트워크 구성 자동화

4. 활용 계층 또는 범위 (Scope)

계층주요 기능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네트워크 가상화 및 SDN 제공 (ex: AWS VPC, Azure VNets)
PaaS (Platform as a Service)내부 통신 보안, 서비스 디스커버리
SaaS (Software as a Service)애플리케이션 통신 최적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Spine-Leaf 구조, VXLAN 기반 네트워크
클라우드 스토리지 네트워크NAS/SAN 통합된 I/O 가상화 환경

5. 구성요소 (Components)

구성요소설명
vSwitch (Virtual Switch)가상화된 L2 스위치로 VM 간 통신 연결
vRouter (Virtual Router)가상화된 L3 라우터 기능
SDN Controller중앙 제어기, 네트워크 구성과 흐름 제어
Overlay NetworkVXLAN, GRE 등을 이용한 논리 네트워크 구현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방화벽, 로드밸런서 등의 네트워크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대체
OrchestratorKubernetes, OpenStack Neutron 등 자동화 도구

6. 시간순 작동 순서 (Operation Flow)

  1. 사용자 또는 오케스트레이터가 VM/컨테이너 생성 요청
  2. 네트워크 오버레이 및 가상 스위치 설정 자동 수행
  3. SDN 컨트롤러가 흐름 정의 및 정책 적용
  4. 가상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연결 설정
  5. 트래픽 흐름에 따라 동적으로 QoS, ACL 등 정책 적용
  6. 모니터링 및 로깅 자동 수행

7. 종류 (Types)

구분설명
Private Cloud Network사내 전용 클라우드 네트워크
Public Cloud NetworkAWS, Azure, GCP 등의 공개 클라우드 기반
Hybrid Cloud Network온프레미스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연결한 네트워크
Multi-Cloud Network여러 클라우드 사업자 간의 연결 구성
Overlay NetworkVXLAN, GRE 등 터널링 기반의 논리 네트워크
Underlay Network실제 물리 네트워크, Overlay를 운반함

8. 장단점 (Pros & Cons)

✅ 장점

  • 신속한 서비스 구성 가능 (자동화, API 기반 프로비저닝)
  • 유연한 확장성 (필요한 만큼 자원 할당 및 해제 가능)
  • CAPEX/OPEX 절감 (물리 장비 필요 최소화)
  • 멀티테넌시 보장 (고객 간 격리된 네트워크 제공)
  • 정책 기반 보안 제어 가능

❌ 단점

  • 운영 복잡성 증가 (추상화 레이어 많음)
  • 문제 발생 시 디버깅 어려움 (다계층 구조)
  • 보안 위협 증가 (멀티테넌시 환경에서 내부 공격 가능성)
  • 의존성 심화 (SDN/NFV 등 컨트롤 플레인 장애 시 전면 영향)

9. 전통 네트워크와의 비교 (비교분석)

항목전통 네트워크클라우드 네트워크
구조계층적 구조 (Core–Distribution–Access)평면적 구조 (Spine–Leaf, East-West 통신 중심)
설계 방식수동 설계, 수작업 구성자동화, API 기반 구성
확장성물리 장비 추가 필요논리적 자원 할당으로 확장 용이
I/O 연결별도 SAN/NAS 구성I/O 가상화로 통합 구성
장비 중심라우터, 스위치 중심vSwitch, vRouter 중심
통신 흐름North–South 중심East–West 중심 강화
연결 방식TCP/IP, VLAN 등 전통 프로토콜VXLAN, GRE, SDN 프로토콜 사용

10. 전망 및 개선점 (Future & Improvement)

🔮 전망

  • AI 기반 네트워크 자동화(AIOps)와의 통합
  • Zero Trust 보안 모델 확대
  •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능(CNF)으로의 진화
  • 에지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분산 네트워크 구성 확대

🛠 개선점

  • 다중 클라우드 간 상호운용성 표준화 필요
  • 보안 정책과 감사 추적 기능 강화
  • 가시성 확보 및 장애 분석 자동화 필요

11. 어린이 버전 요약 (For Kids 🧒)

클라우드 네트워크는 보이지 않는 인터넷 도로야.
우리가 만든 게임이나 앱을 전 세계 친구들이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줘.
이 도로는 공중에 그려져 있고, 필요하면 자동으로 길을 만들고 없애기도 해.
마치 레고 블록처럼 빠르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는 똑똑한 길이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