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ITCH Web3 Onboarding Camp Week2

셈퀀·2023년 4월 1일
3

세미나

목록 보기
2/2

공통세션

개발자의 길 by Trinity Junha

분산 네트워크
웹3: early stage여서 개발자에게 더 많은 기회가 있다

디자이너의 길 by ishDAO Woozi

다양한 서비스들이 우주를 테마 또는 어두운 다크모드로 제공한다.
왜 우주라는 키워드로 할까?

Web3 유저 페르소나: 크게 블록체인이라는 시장 안에 있다

  • 블록체인 얼리어답터, 트렌드 리더, 트렌드 팔로워(트렌드에 민감)
  1. 뉴메타를 쫓는다, 지속적으로 새로운 것을 찾는다.
    👉 그런 마음을 읽은게 우주(미지의 세계)가 아닐까 싶다.
  2. 미래지향적인걸 좋아한다 (우주는 인류의 미래 산업)
  3. 테크 백그라운드가 있어요 (개발자는 시커너걸 좋아하기까지 한다)

커뮤니티?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1. 커뮤니티 여론은 가격에 많은 영향을 준다
2. 그래서 콩깍지가 필요하다
3. 신화의 수단으로써의 우주

앞으로 조금 다른 디자인이 나오지 않을까?

기획자의 일 by Trinity stay_keen

개발도 디자이너도 아닌 웹3 씬에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사람들은 똑똑한 사람보다 친한 사람 말을 잘 듣는다"

1. 혼란스러운 용어들 한 번에 정리하기 by Trinity Junha

가상화폐 만들기
화폐란 거래내역의 기록 & 모두의 동의(믿음)
👉 암호화폐는 어떻게 이 두가지를 해결할까?

상태의 기록 (시간 확장, 공간 확장)

A. 시간 확장(상태 전이)
1. 기록의 방식 - 상태가 계단식 전이, 해시 함수, 머클 트리(데이터를 2개씩 묶어 해상하여 요약하는 자료구조)
👉 이더리움의 경우 실제로 "Modified Merkle Patrcia Trie" 구조 활용
2. 거래 장부의 유효성 검증 - 루트 해시 값 하나만 비교하면 된다.(수십 바이트 수준)
B. 공간 확장(분산 네트워크)
모두가 같은 버전의 장부를 나눠 갖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동기화

"가치는 믿음에서 나온다"
믿음 = 모두의 동의 = 합의
👉 합의 알고리즘 (Proof of Work:작업증명, Proof of Stake:지분증명)
지분증명: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얻음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블록 생성 권한>을 얻음

2. 스마트 컨트랙트 세션 by Trinity Junha

이더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이라고 하는 에뮬레이트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이더리움에서 solidity 많이 사용한다.
Near는 이더리움과는 조금 다른 방향성 (Developer-friendly)

3. 컨트랙트 배포 실습 by Boomlabs Mark

Solidity 컨트랙트 배포
https://remix.ethereum.org/

npm init
npm install --save-dev hardhat
npx hardhat
npm install @openzeppelin/contracts
npx hardhat compile
npx hardhat run scripts/deploy.js --network {network-name}

4. 웹3 프론트엔드 개발 실습 by Boomlabs Mark

profile
블록체인 개발자로 성장 중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4월 9일

좋은 후기 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위크3도 오셨나요?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