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트리니티, 그리고 글리치가 있기까지 (BASKIN)
도전과 성장의 발판1.2 Web3 시대, K-Builder를 위한 공략집 (Sujin Keen)
한국인들이 어떻게 WEB3에 접근할 수 있을까?
Glitch: 시스템의 갑작스러운 고장, 지지직 거리는 화면 효과
현재는 Web3.0으로의 전환기 마치 빌게이츠 영상처럼
인터넷이 잡아 먹은 것이 아니라 그냥 모든 것이 인터넷이 되어버렸다기술 진화의 변곡점에 항상 등장하는 글리치
글리치는 오히려 기회의 시그널?A. 웹 생태계에 어떤 일이?
아무도 믿지 않아도 되도록 (TRUSTLESS)
누구한테 허락 받지 않아도 되도록 (PERMISSIONLESS)
암호학 기술로 우리를 보호하자탈중앙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원하는 건 뭘까?
(NEWSIS 전진우 기자님) - Read > Write > Own
web2.5: 에어비앤비 우버 등
web3.0: 비트코인 등장 -사토시, 비탈릭 등 (웹에서 잊혀진 권리와 자유를 찾자)B. 웹3 세상에 세대 교체가 시작됐다
2009년: 비트코인 시작 (사상가)
2014년: 이더리움 (개발자)
2017년: ICO 및 분산금융 ICO & DeFi (금융인)
2021년: NFT & DAO (창작자)정치 사회 경제 금융 등 Web3.0을 알기 위해 모든 것을 공부할게 아니라 직접 뛰어 들어서 경험하는 것이 더 빠르다!
Hero DAO Sunset 망한썰?
사람들의 온보딩이 쉽지 않았다 (지갑 연결, 공동 서명, 보팅 등)C. K-빌더를 위한 기회들은 뭐가 있을까?
이제는 프로덕트로 보여주는 REAL USE CASE가 필요하다
사상가(OG) 시대는 지나갔다
이제는 실행가의 시대 - 직접 해봐야 알 수 있다유망할 수 있는 분야??
01. Creator: 중산층 크리에이터가 창출하는 프로덕트
Building the Middle Class of the Creator Economy
02. Content: 온체인 기록을 활용 새로운 컨텐츠 포맷
03. Community: DAO 조직을 세팅하는 OS, Next 슬랙과 디스코드 (+보팅/의사결정) - 아라곤 웹사이트
1.3 글로벌 해커톤 공략기 (June Yoon -Just Hack It)
2022.08년 처음 해커톤 시작하심첫번째 창업
2019년 여름 - 프리딕션 공동 창업
2019년 겨울 - 카투사 입대
2022년 겨울 - 메가스터디의 AI교육 프리딕션 인수두번째 창업
군대에서 시작 - 명품 수선의 탑을 찾다 Fapis (백엔드쪽)
기회를 찾아 끝까지하면 된다! (기회가 더 많은 곳으로 가야한다)세번째 창업
웹3 입문 - 해커톤
기회는 많다. 좋은 앱은 별로 없다.
Bring people to the next generation of web해커톤 승리 비법
1. 잘 되는 것보다 잘 보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꼼꼼한 구현에 리소스를 들일 필요가 없다.
정말 킬러 기능 한 개짜리 MVP를 만든다고 생각하고 접근하자
기획 > 디자인 > 프론트엔드 개발 > 서버/컨트랙트 개발
가장 중요한 것은 모두가 공감하는 problem 한줄 + ??
어떤 부분을 보여줘야 하는지에 집중! 모든 부분을 다 만들 필요는 없다.메인넷이 원하는 것?
1. 생태계 확장
2. 더 많은 유저
3. 더 많은 즐길거리 = Dapp이더리움 : 학구적 (상업적이지 않다)
1. ZK, Account Abstraction, EIPs
2. EIP 4907 - 이더리움을 빌려줄 수 있어야한다.코스모스 : 너가 쓰고 싶으면 너가 체인을 직접 만들어
더 많은 Dapp을 원함
- 창업자의 마음으로 (진정성)
우리는 이 해커톤을 통해서 이 생태계에 들어오고 계속해서 개발하고 싶다.1.4
글리치의 로드맵: 해커톤까지의 여정 (Joy)
2. INFRA & FINANCE
우리의 일상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블록체인 인프라와 오픈 파이낸스
트리니티 박태준 (John Park) & a41 박광성 (John Park)a41: validator business
해시드, 디싸이퍼, 논스
POW에서 POS의 흐름 이더리움을 필두로
liquid staking이 트렌드화 될거다.
금융으로 가는 흐름 - 스테이킹
업계 리더들의 트위터 팔로우해서 보면 좋다 (스마트 머니, 파라다임 회사, 이더리움 갤럭시 디지털, 델파이 디지털(돈 내고), crypto canon list부터 시작 근데 엄청 길고 힘들다, john park a41, 오리지널로 보는게 더 좋다)
특정 루트를 타서 초기부터 쭉 보면 많이 배울 수 있다.(On source들 보면Web3.0, 앞으로 더 치열하다. 트렌드를 따라가며 계속 발전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정도로 확신이 있는가? 그만큼 하고 싶은가?
3. NFT ART & TECH
웹3 대중화 문을 열어버린 NFT, 그 미래를 아티스트와 엔지니어에게 묻다.
(Lucia Kang- AEON Studio, Chris Song(AI Holic유튜버)- NFT Bank)Chris: 시장의 성장성을 보고 AI쪽에서 NFT 쪽으로 이동, AI쪽은 결국 대기업 한 두 곳만 남지 않을까?
엔지니어가 어떤 인더스트리를 가도 공통적으로 마주치는 문제의 패턴이 있을텐데 그걸 해결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기본을 갖추고, 지금같은 시기에 온보딩하면 좋지 않을까?
현재 블록체인은 제도권에 올라가려는 협상 등으로 블록체인이 건강해지고 있다.부동산처럼 NFT를 담보잡고 돈을 빌리거나, 갭투자
혁신이 일어날 때 기회가 생긴다.
Lucia: 기술에 상상력을 더하는 일을 하고 있다.
soul fiction(영혼의 허구) 프로젝트
NFT는 하나의 기술이기 때문에 분야가 다양하다. 아트 쪽으로 봤을 때는 NFT를 자산으로 생각하는 경향(collectible). NFT는 지금 social value로 만들어지는 가격 - 동아리 같은 개념?
그 NFT를 소유하고 있는 커뮤니티의 사람들의 활동이 중요하다.
프로젝트의 의도가 중요하다.
4. DAO & COMMUNITY
보스몹을 깨려면 길드가 필요하다! 빌더 DAO에 조인해서 같이 또 따로 일하다.
DAO 활동?조영휘 : project 7(hunt town)
DAO: 네트워크의 재미요소, 내 삶에 어떤 도움이 되나? 커뮤니티에 몰입colorchip(ishDAO) - ishDAO 트위터 팔로우!!
DAO/Community - 커뮤니티 빌딩 과정, 스터디
정리 엄청 잘해놓으셨네요 b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