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는 사이트 : ITS 국가교통정보센터
https://www.its.go.kr/nodelink/intro
https://www.its.go.kr/nodelink/nodelinkRef
여기서 노드,링크에 대한 정보들을 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다.
날짜구간 별의 파일을 조회할 수 있다.
내가 지금 다루고 있는 데이터는 2023년 1월 데이터.
파일의 날짜가 의미하는 것은 그 날짜까지 정보가 업데이트 됐다는 것이다.
도로가 없어지고 생기고 하니까 적절한 날짜를 찾아서 다운로드 해야한다.
맨처음에는 2023년 2월 10일 데이터를 다운로드 했다.
2월의 것이 1월의 데이터를 모두 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가 생각한 방향이 틀렸다❕
예를 들어 2월 10일 링크데이터에 2월 2일에 만들어진 도로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는 내가 정제해 놓은 데이터에는 맞지 않을 것이다.
해당 날짜에 대한 파일을 풀어보면
요상한 파일들이 쪼로록있다.
어제 오빠가 이중에 우리가 필요한 파일은 "MOCT_LINK.shp"
라고 말을 해줘서 참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MOCT_LINK.shp을 열어주는게 나의 일!
먼저 이것의 파일이 나에겐 생소에서 서치를 해보았다.
참고 페이지:
글에 따르면 shape파일에 shp, shx, dbf, sbx, sbn 의 다섯개의 파일이 있다.
이 파일들이 모두 있어야 shapefile로 사용할 수 있다
shp파일을 불러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geopandas
import geopandas as gpd
gpd.read_file("경로/[2023-02-10]NODELINKDATA/MOCT_LINK.shp")
link
이렇게 출력이 된다!
컬럼이 뜻하는 것은
여기서
이렇게 알 수 있다.
📕맨 처음에 나는 ".shp"파일만 필요하다 해서 냅다 그것만 파일에 복사하여 에러가 났었다.
드라이브에 파일 전체를 다 옮겨주고 실행하는 정상적으로 출력이 됐다.
여기에 있는 컬럼들 중 내가 골라서 정제해 놓은 교통 또는 속도 데이터에 붙이면 된다.
하지만 ITS에서 제공해주는 링크아이디와 TOPIS에서 제공해주는 링크아이디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맞춰주어야 한다.
이는 나중에 매칭해주는 파일을 이용해 붙일 예정!
그리고 컬럼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 교통,도로 등에 대해 더 공부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