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HTTP] HTTP Request & Response 구조 간단하게 알아보기

Haeun Noh·2023년 10월 25일
0

WEB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1026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보통 데이터 교환에 의해 통신하는데, 이 때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라고 부르며,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라고 부릅니다.

요청과 응답이 오가는 사이에는 여러 개체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캐시역할을 하는 프록시가 있습니다.



1. HTTP의 구조


HTTP의 구조는 위의 그림에서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구조는 크게 시작 줄, 헤더, 공백, 바디 로 총 4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1. 시작줄

GET /test.html HTTP/1.1

먼저 시작줄입니다.

GET은 앞서 포스팅했던 HTTP 메서드 중 리소스를 조회하는 GET 메서드입니다.

/test.html의 전에는 localhost:3000과 같은 주소가 위치합니다.

HTTP/1.1은 버전인데 별로 중요하지 않으니 여기서는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2. 헤더 (header)

Host: google.com
Accept: text/html
Accept-Encoding
Connection

헤더에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Host: google.com : 요청을 하고 있는 도메인의 주소
  • Accept: text/html : 이것을 불러오겠다
  • Accept-Encoding : gzip, deflate : 압축하겠다
  • Connection : (keep)한 번 요청했으면 끊지 말고 좀 대기해라

1.3. 바디 (body)

hl=ko&ogbl=0&page=99

  • 바디는 바로 맨 윗줄을 띄워놓아야 합니다.

바디는 데이터부분을 나타냅니다.



굉장히 간단하게 http의 구조에 대해 포스팅해봤습니다.
잘못된 점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Tistory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haeunnohh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