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보통 데이터 교환에 의해 통신하는데, 이 때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라고 부르며,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라고 부릅니다.
요청과 응답이 오가는 사이에는 여러 개체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캐시역할을 하는 프록시가 있습니다.
HTTP의 구조는 위의 그림에서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구조는 크게 시작 줄, 헤더, 공백, 바디 로 총 4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GET /test.html HTTP/1.1
먼저 시작줄입니다.
GET은 앞서 포스팅했던 HTTP 메서드 중 리소스를 조회하는 GET 메서드입니다.
/test.html
의 전에는 localhost:3000
과 같은 주소가 위치합니다.
HTTP/1.1은 버전인데 별로 중요하지 않으니 여기서는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Host: google.com
Accept: text/html
Accept-Encoding
Connection
헤더에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hl=ko&ogbl=0&page=99
바디는 데이터부분을 나타냅니다.
굉장히 간단하게 http의 구조에 대해 포스팅해봤습니다.
잘못된 점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