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정적 컨텐츠

Haeun Noh·2023년 8월 1일
1

TweeksStudy:1 (Spring)

목록 보기
4/13
post-thumbnail

0801


☘️1. 정적 컨텐츠

정적 컨텐츠란? 그저 파일을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 내려주는 것

  • 스프링 부트는 정적 컨텐츠를 static에서 기본 설정으로 제공한다.

👉1.1. static에서 html 파일을 생성한다면?

  1. static 폴더 안에 hello-static.html파일을 만든다.

  2.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static content</title>
    </head>
    <body>
    정적 컨텐츠 입니다.
    </body>
    </html>
  3. 스프링을 실행한다.

  4. localhost:8080/hello-static.html로 접속한다.

    • / 뒤에는 자신이 static 영역에 생성한 파일명을 명시한다.
  5. "정적 컨텐츠 입니다." 라는 문구가 잘 나오는지 확인한다.

👉1.2. 작동 원리

  1. 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의 요청을 내장 톰켓 서버가 받는다.

  2. 내장 톰켓 서버가 localhost:8080/hello-static.html라는 요청이 왔대~ 라며 스프링으로 전달한다.

  3. 스프링은 controller 쪽에서 hello-static.html파일이 있는지를 찾는다.

    • controller가 먼저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뜻
  4. 이와 관련된 매핑된 컨트롤러가 없다면 resources안의 static에서 hello-static.html파일이 있는지를 찾는다.

  5. 있다면 hello-static.html을 반환해준다.


☘️2. MVC와 템플릿 엔진

템플릿 엔진이란? html을 서버에서 프로그래밍하여 html을 동적으로 바꿔서 내리는 것

MVC(Model View Controller)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Controller, Model, 템플릿 엔진의 화면 이 세 가지를 Model View Controller 라고 한다.


👉2.1. 정적 컨텐츠 vs MVC와 템플릿 엔진

정적 컨텐츠MVC와 템플릿 엔진
파일을 그대로 웹브라우저에 전달해주는 방식서버에서 변형하여 웹브라우저에 전달해주는 방식

☘️3. API

API 방식이란? JSON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 JSON : 데이터 구조 포맷

👉3.1. 언제 사용해요?

  • 데이터만 내려주고 화면은 클라이언트가 따로 구현할 때
  • 서버끼리 통신할 때
    • 서버끼리는 어떠한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

profile
Tistory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haeunnohh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