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형태로 작성하며 어색한 부분이 있는지 체크할 것. (어색한 부분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
- 변수 : 의미 설명
- 함수 : 입력, 출력, 시간복잡도 설명
- 각 줄마다 문장으로 설명
(30분 안에 풀었다면 더 나은 방법을 남은 시간동안 고민하고, 최대 시간이 넘었다면 더이상 붙잡고 있지 말자)
난이도에 맞는 유동적인 시간 설정
- 삼성 기출 : 2시간
- ~sliver : 1시간
- ~gold : 2시간
최대 시간 상한은 왜 두나요?
알고리즘에 3~4시간을 투자하다보면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실제 시험에서도 난이도에 맞는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최대 시간이 지났다면?
빠르게 해설을 보고 이해한 뒤, 코드를 전부 지우고 다시 처음부터 반복한다. 똑같이 10시간을 고민하더라도 2시간씩 끊어 5번 고민하는 것이 훨씬 집중력 있는 공부가 될 것 ('◡')
다시 푸는 것에 의미가 있나?
막히던 부분이 해결되는지 / 실수가 줄어드는지 / 시간이 줄어드는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
(실제 기업 라이브 코딩테스트에서 반드시 물어보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