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왕이형 자소서바이블2.0에서 참고할 내용들

thousand_yj·2022년 12월 5일
0

취준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기본 맥락

자소서와 면접의 맥락 : What - Why - How 순

글쓰기 소스를 관리하는 방법

3C4P

3C - Why, 배경 설명

  • customer : 이 경험을 통해 만족시키고 싶은 대상. 당시 고객의 니즈가 무엇이었고, 이 프로젝트와 과제를 준 이유를 기술. 1~3줄 정도로 아주 짧게 작성. 고객이 누구이고 그들의 니즈가 무엇이었는가?

  • company : 당시 나의 상황 또는 조직의 상황이 어땠는지. 중요한 포인트는 상황 자체가 아닌, 주어진 도전과제와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에 집중하여 기술하는 것. 여기에는 조직의 큰 그림과 최종 목표가 포함되어야. 즉, 내가 조직의 목표에 기여하고 공헌한 것은 무엇인가?

  • competitor : 나보다 앞서 있는 곳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적기.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시장조사를 했는지, 경쟁사는 무엇부터 따라할지를 작성. 핵심은 나보다 앞서 있는 대상을 조사했는가? 어제의 나도 경쟁자가 될 수 있고, 비슷한 일을 했던 선배나 이전 경험자도 경쟁자로 분류 가능. 적용적 의미로 정리하는 것이 핵심.

4P - What, How

4P는 경험을 분해하는 시점에서 당시에 내가 이 일을 왜 했는지 분해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즉, 경험 리스트업에서 도출한 경험을 가지고 아래 질문에 답해보는 과정이라고 보면 심플하다. 

❶ 내 경험의 결과물이 뭐지? ⇒ Product 
❷ 내가 이 경험에서 무엇을 해결한 거지? ⇒ Place 
❸ 내가 이 경험에서 생산성 높게 한 행동이 뭐지? ⇒ Price 
❹ 내가 이 경험에서 다른 사람에게 잘 설명하기 위해 뭘 했지? ⇒ Promotion 

  • product : What

  • place : 문제 해결점을 발견하기까지의 단계.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해나간 프로세스.

  • price :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액션. 시간 단축, 효율성 증대, 성능 개선의 효과를 낸 행동들. (input 대비 output을 높인 것들)

  • promotion : 어떻게 알렸는가. 문제를 해결한 이후 매뉴얼을 만들거나 교육을 진행한 내용, 혹은 발표자료를 어떤 식으로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소통했는지.

profile
함께 일하고 싶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코딩테스트 관련 공부 및 이야기는 티스토리에도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