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마다 삭제 버튼과 onclick이벤트를 걸어주고 goDel()함수를 작성한다.그 다음 RestBoardMapper.java에 연결만 하면 끝이 난다.resultJson function에 수정버튼과 onclick 함수를 추가해준다.그리고 추가적으로 각 제목, 작성
boardList.jsp에서 버튼을 누르면 비동기 통신 Ajax가 실행된다. (Ajax안에 콜백 함수 작동)통신이 제대로 되면 success의 resultJson 함수가 작동이 된다.그다음 resultJson함수를 작성한다. 받아온 JSON 데이터를 html안에 뿌려주
스크립트릿을 쓰는 것 보다 간결하다.(페이지 이동시 context Path 적는 부분이 변경되면 다 수정해야하는 어려움이있다.)바로 이부분. 하지만 context Path 는 server.xml에서 변경할 수 있는데 변경하면 전체 모든 코드를 수정해야하는 복잡함이 있다
제목, 내용 부분을 수정 할 수 있게 변경을 해준다.그 다음 수정을 하기위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form 태그로 감싸주고 action과 method 작성그리고 버튼이 submit 작동 할 수 있도록 type을 submit로 해준다.그럼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서 수
마크다운(markdown)은 일반 텍스트 기반의 경량 마크업 언어다.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 마크업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HTML과 리치 텍스트(RTF) 등 서식 문서로 쉽게 변환되기 때문에 응용 소프트
h1 부터 h6 로 제목을 표현할 수 있다. ✍ 마크다운 작성시참고: h1, h6 처럼 회색 박스로 감싼 부분은 인라인 코드라고 하는데, 백틱(\`\`)으로 감싸서 작성한다.한줄짜리 코드블럭은 간단하게 Tab을 이용하여 작성한다.여러줄의 코드블럭은 백틱(\`\`) 3개
POST 방식을 통해 한글을 입력하면 JSP/Servlet 처럼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동기를 보았는데,web.xml에다가 필터를 추가를 해주면 된다.자세한건 아래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자.https://gmlwjd9405.github.io/2019/01
참고로 이렇게 SQL 수정헤서 내림차순으로 볼 수 있다.글쓰기 버튼을 먼저 추가를 해준다.다양한 버전도 가능하다.왼쪽부터 차근차근 Primary , info, success, warning 이다.버튼에 goForm 클릭이벤트를 걸어준다.jsp 상단에 페이지 이동 스크립
DAO안에 DB와 연결하는 코드들은 Spring에서 자동으로 해주니 기능만 만들면 된다.DAO에서는 안에 연결이라든지 데이터 전달 또는 가져오기 이런건 Mabits가 다 하기 때문에 안에 기능을 만들 필요 가 없다.그래서 추상메소드로 만들고 클래스를 interface로
📌 준비 / 세팅 📖 준비 그 다음 이클립스에서 구동한 sql을 더블클릭해서 연결시켜준다. 📖 sql 파일 만들기 new -> other을 통해서 board.sql 파일을 만들어준다. 그다음 상단에서 sql파일을 연결해준다.  : 제안한 아이디어 명칭의 적절성제안 배경(20) : 경제적, 산업적, 사회적 배경의 적절성기술성(20) : 제안 배경에 맞는 적절한 기술의 적합성실현 가능성(2
위 사진은 전체 흐름에 대한 흉내를 내본것이다.우리는 POJO만 작업을 하게 될것이다.이유는? 나머지는 Spring이 만들어주기 때문!여태까지 과정은 3 Tier Architecture 에서 Presentation Layer (Web Layer)이다.그렇다면 이제 Da
📌 Server와 Client의 흐름 (Spring) 📖 eclipse 실행 Client가 Server로 요청을 하면 Controller 중에서도 Client의 모든 요청을 받는 Front Controller이 있다. 기존에는 이 Front Controller을
📌 Progect 시작 📖 eclipse 실행 우측에 eGovFrame 퍼스펙티브에 추가된걸 확인 할 수 있다. 실제에서는 eGovFrame를 선택해서 개발을 한다. 아직 eGovFrame 선택하지 말것 퍼스펙티브에서 eGovFrame를 선택하면 Spring
📌 Spring 다운로드 📖 Spring 및 Framework를 배워야 하는 이유? > 대부분 Java SI / SE / 개발자로 간다 대부분 회사들이 현장에서 Framework 툴을 가지고 개발을 한다. 하지만 중소기업에서 FrameWork를 쓴다면 매우 비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