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dows10

[오토핫키] 캡스락 한영, ijkl 방향키 : 방향키 입력과 한영 전환 간섭 제거
1. 개요 > 오토핫키를 이용해 캡스락을 한영전환키로 사용하고 캡스락+ijkl를 방향키로 사용할 때 방향키와 한영전환이 서로 간섭하지 않게 하는 방법. 2. 문제 캡스락을 한영 전환 키로 사용하고 캡스락과 ijkl 조합으로 방향키를 사용할 때 방향키를 입력하고 나면 한영 전환이 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 3. 경과 국내와 해외 웹페이지, 그리고 유튜브들을 찾아봐도 이 문제에 대한 질문만 있고 확실한 답변이 없는 상황. 이에 오토핫키 공식 문서를 참고하여 직접 해결. 4. 문제해결 A_ThisHotkey 를 이용하여 캡스락이 단독으로 쓰일 때에만 한영전환이 되도록 함. 이때 키를 누를 때가 아닌 땔 때 입력이 되도록 해야 하므로 KeyWait 필수. 5. 키 조합 > 캡스락 = 한영전환 (아래 부터는 캡스락을 누른채로) i, j, k, l, w, a, s, d = 방향키 u, o, q, e =

Terminal setting for Windows 10
용도 WSL 안 쓰고 리눅스 터미널 환경이 마려울 때 사용한다. 요약 - msys2, cmder 설치 - msys2 실행 속도 문제 해결 과정 msys2 설치 msys2 설정 ; 실행 속도 개선 cmder 설치 우클릭 > 시작 화면에 고정(P) 우클릭 > 속성(R) > 호환성 탭 > 관리자 권한 등록 체크 cmder에 msys2 실행 프로필 등록 cmder 실행 Settings > Startup > Tasks > Add/refresh ... > ("Refresh ..." 선택) 프로필 상세 설정

파이썬(Python) 코드로 윈도우(Windows), 맥OS(macOS) 폰트 설치하기
파이썬 코드로 폰트(.ttf .otf)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꽤나 고민한 부분이니, 잘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의 코드가 작동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걸 잊으시면 안됩니다. 윈도우의 경우, 이렇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Windows 폰트 설치 방법 1번째 Windows 폰트 설치 방법 2번째 폰트 파일을 모든 사용자용이나 현재 사용자용으로 옮긴 뒤, 레지스트리를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으로 macO

Windows10 minikube 환경 구성
1. Hyper-V 기능 활성화 2. Ubuntu VM 설치 🚩 VM 실행 전, '보안 부팅 사용' 비활성화와 CPU 프로세스 2개로 변경이 필요하다. 3. Hyper-V VM Static IP 설정 (참고) 🚩 New-NetIPAddress 명령에서 사용할 INDEX 값 확인 🚩 PowerShell 실행 결과 
[win10/RTX 3060] Local에 CUDA를 설치해 Deep Learning 환경 구성하기
CUDA, cuDNN, PyTorch 설치하기 0. 작성 기조 나는 겉핥기로 뭐가 뭐가 필요한지 얼추는 알지만 각 요소가 무엇을 위한 건지 어떤 동작을 하는지 잘 모르는 상태이다. 왜 필요한지 어디 쓰이는지는 알고 설치하자는 마인드. 모 교수님께서 "요즘 학생들은 면접 때 뭐 물어보면 위키피디아 첫줄에 나오는 설명은 아는데, 그보다 깊게는 잘 모른다"라는 식으로 작금의 세태에 대해 한탄하신 바 있다. 나는 시간 상(과제 제출) 여유가 없다. 존경하는 교수님이시지만, 죄송합니다.. 오늘은 그 위키피디아 첫 줄만을 아는 못난 학생이 되어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1. 시작점 Conda는 설치되어있었고, DL이라는 이름으로 venv가 만들어져 있었다. numpy정도만 설치되어 있었다. RTX 3060 설치되어있고, Win10 환경. nvidia-smi로 driver확인 
윈도우 리눅스 우분투 환경 구축
개발환경 OS: Windows 11 환경 구축 참고: Windows 10 에서 Linux 환경 구축하기 Windows PowerShell 우분투 설치 참고: Windows 10 WSL(Ubuntu 18.04) 설치 방법 계정 설정: letsj/2022 **※ 호스트 시스템 접근: /mnt/c 하위로 가면 C드라

[Docker] 윈도우10에서 도커 설치하기
별도의 가상머신(VM) 또는 듀얼 부팅 없이 기존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 할 수 있는 'WSL'를 통해 GNU/Linux 호환 앱 설치부터 실제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실습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Terminal 설치 1) Microsoft Store에서 설치하기 윈도우10인 경우 왼쪽 하단의 윈도우 아이콘 클릭 후 'Microsoft Store' 검색 검색창에 'Windows Terminal' 검색 후 다운로드 2) Microsoft 홈페이지에서 설치하기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https://www.microsoft.com/ko-kr/p/windows-terminal/9n0dx20hk701?rtc=1&activetab=pivot:overviewtab 2. WSL2 설치 1)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사용 설치된 'Windows Terminal'

windows 보내기 기능(sendto)
windows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기능으로 "sendto"가 있다. 마우스 sendto 메뉴를 설정해 놓으면 마우스 우클릭으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 [USE CASE] 자주 사용하는 도구 visual studio 처럼 버전 충돌이 있는 도구를 사용할 경우, 버전별로 등록 사용예시 windows 10 > [windows 10 사용 예] 파일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보내기 --> 등록된 프로그램 windows 11 추가 예정 sendto 메뉴 설정 탐색기의 경로에 "sendto" 입력 
Windows 10 에 MacOS Big Sur 개발 환경 구축하기: VMware Workstation Pro 16
📌 왜? 대학에서 빌려준 맥북을 통해 iOS 개발을 하던 중 졸업이 다가와 맥북을 반납하게 되면서, 프로젝트 진행이 어렵게 되었다. 혼자 하는 프로젝트면 상관이 없겠지만, 여러 사람과 함께 하는 프로젝트다 보니 급하게 Mac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무료 가상머신 툴인 VirtualBox를 사용해 보았는데.. > 너무, 너무, 너무 느려.. 따라서 구글링을 통해 성능이 괜찮다고 소개된 "VMware workstation" 을 통해 내 윈도우 데스크톱에 Mac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자 했다. 📌 문제점 처음에는 여느 환경 구축 일들처럼 구글링으로 바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저녁쯤 끝날 줄 알고 약속을 잡기도 했다,, 결국 못갔지만) 그런데 생각보다 VMware에 대한 최근 포스트가 많이 없어서, 여러 포스트를 종합해 22년 버전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 필요한 파일들 다운받기 우선, VMwa

win10 on VULTR[2/3]
win10 on VULTR[1/3] > https://velog.io/@juki/win10-on-VULTR13 delpoy 완료 후 View Console을 통해 진행 4. 윈도우 설치 a) 다운로드 받을때 생성한 ISO파일의 설정과 동일하게 설정 b) install now c) 윈도우 인증은 설치 완료 후 진행, i don't have a product key 클릭 
win10 on VULTR[1/3]
VULTR 서울에 windows10 서버를 직접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OS이미지는 VULTR에서 제공하는 이미지가 아닌 직접 업로드한 OS이미지를 통해 설치과정 정리 0. VULTR를 선택한 이유 a) 가격 >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중 저렴한 가격 amazon lightsail(linux, 2core 8gb) : 월$40 azure(windows server, 2core 8gb) : 월$80 vultr(Custom OS, 4core 8gb) : 월$40  링크: https://www.microsoft.com/ko-kr/p/alpine-wsl/9p804crf0395?activetab=pivot:overviewtab windows powershell에서 배포판 확인 wsl 기본 폴더를 C 드라이브에서 D드라이브로 바꾸는 방법 C드라이브는 항상 용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D드라이브로 기본 디렉토리를 바꾼다. 참고: https://blog.iany.me/2020/06/move-wsl-to-another-drive/ 인스턴스
[Windows10] OneDrive 재분석 지점 버퍼 오류 0x80071129 해결법
Introdution 저는 HW 저장 장치를 신뢰하지 않습니다. 수명 문제도 있고, 언제 고장이 나도 이상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있다면 사실 HW에 3중 분산 저장을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하지만 비용 문제가 심각하니, 저는 대부분의 자료를 github와 cloud를 이용해서 다루기 때문에 언제 포맷을 해도 지장이 없습니다. .png)하지만 최근 컴퓨터를 초기화 하고 난 뒤부터 SSD가 정상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 자주 오류가 발생하고 다음과 같이 잘 쓰던 폴더가 접근이 안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대부분 OneDrive가 백업하고 있는 폴더에서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인터넷에 있는 해결법을 가지고 며칠을 씨름해도 안됐는데 안전모드 부팅이 해결책인 것을 이제야 발견했습니다

[Windows10][WSL2] 도커(Docker)로 MySQL 띄우기
https://www.docker.com/ MySQL 도커 이미지 검색 > $ docker search mysql 최신버전 MySQL 설치 > $ docker pull mysql:latest <img

[Windows10][WSL2] 도커(Docker) 로 MariaDB 띄우기
https://mariadb.com/ko/resources/blog/using-docker-for-fast-and-easy-testing-of-maxscale/ MariaDB 도커 이미지 검색 > $ docker search mariadb <img src="https://images.velog.io/images/ashappyasikonw/post/7a41151f-597c-4cd7-933c-9202f8bdaa43/image.png" al

ssh로 서버 접속
사실 접속 자체는 별로 쓸 내용이 없다. 다만 이 글을 쓰는 이유는 putty 라는 프로그램 때문이다. windows10에서 ssh 외부 접속을 한번이라도 시도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windows10는 자체적으로 openSSH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성자도 이전에 수강했던 교육과정 중 hadoop서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putty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하는 방향으로 실습을 진행했다. 그래서 windows10이 출시된지 6년이 된 시점에서 왜 아직도 windows에서 ssh = putty! 라는 듯한 인식이 남아있는지, 혹은 windows openssh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주요한 추가적인 기능이 putty에서는 사용가능 한건지 등이 궁금해서 좀 뒤적거려 봤지만 역시나 별 다른 이유는 찾을 수 없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 혹시 뭔가 알고 있는것이 있거나 생각나는 이유가 있으신 분들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windows1

[Windows10] Hyper-v Auto/off
집에서 docker desktop 설치해서 돌릴 때 가장 애먹었던 게 Hyper-v 키고 끄는 거 였다. virtual box, docker, Hyper-v가 짬뽕이 되서 어떻게해야 하는 지 한참 헤매다가 Hyper-v 끄니까 virtual box와 충돌 하던 게 해결 됐던 것 같다. securable도 Hyper-v를 off로 하면 가상화에 Yes가 뜬다. Hper-v가 사교성이 좀 떨어지는 거 같다. 몇 달이나 지나서 가물가물한 데 일단 키고 끄는 방법을 메모해 놓는다.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아래의 명령으로 마지막 줄에 나오는 hypervisorlaunchtype이 부팅 시 Hyper-v 실행 타입을 나타낸다. > bcdedit Hyper-v 켜기 on이 아니라 auto로하면 켜진다. >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auto Hyper-v 끄기 on이 아니라 auto로하면 켜진거다. > bcdedit /set h

[Windows10] 특정 프로세스 찾아서 죽이기 🎃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하게 윈도우10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찾아서 포트 죽이기를 주제로 글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자주 해결하는 방법이기도 해서 메모겸으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1. 문제 상황 🤨 보통 백엔드를 하시는분들 이라면 아래와 같은 포트 오류를 한번쯤 경험 해보셨을 것입니다. 서버를 8080 포트 번호로 실행을 했을때, 이미 8080 포트에서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스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때 해결방법은 총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컴퓨터를 재부팅 하여 모든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끝내는 방법입니다. 근데 이 방법은 기다리는 사람 입장에선 엄청 긴 세월인것 같아요. 😂 두번째 방법은 이번 글에서 설명할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찾아

Windows 10 환경에서 Linux 사용하기
1. 들어가며 본래 나는 Windows 환경에서 ICT에 대해 배워왔고 작업해왔다. 그러던 내게 iMAC을 사용하게 될 일이 생겼는데,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기도 전에 난관에 봉착했다. iMAC 환경 외 작업은 내 노트북으로 진행 되었는데, 노트북은 Windows 환경이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환경에서 같은 작업의 연속이 가능할까 하는 것이었다. 실제로도 개발도 환경에 따라 다르다고 하니 노트북에 MacOS의 Linux 환경을 만들어 주기로 했다. P.S Linux는 환경이라기 보단 Kernel의 의미이다. 그래서 Linux 환경을 구축한다는 것은 Ubuntu 터미널을 사용한다는 것과 같다. 2. 설치하기 Microsoft는 Linux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기능을 제공한다. 하여 MS사의 홈페이지에 있는 WSL 수동 설치 가이드를 따라가기로 했다. WSL 설치 가이드 👉 <https://docs.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