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ewbinding

[Android] ViewBinding
처음 안드로이드를 공부 할 때 기능 구현에만 급급하던 시절(지금도 마찬가지지만) xml의 뷰와 변수를 연결시켜주기 위해서 findViewById 라는 글루코드를 일일이 작성했었다.하지만 ViewBinding을 사용하면 이러한 귀찮은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에 공부하고자

Android/Kotlin : view binding 사용하기
build.gradle에서 view binding 설정 추가binding 객체 lateinit으로 선언해주기//activity.kt 안// class안에 작성//onCreate() 안에 작성inflate : xml에 표기된 레이아웃들을 메모리에 로딩한 후 객체화 시키는
ViewBinding과 DataBinding의 차이
JetPack 라이브러리 중 ViewBinding과 DataBinding을 공부하고 있는데 둘의 차이점이 궁금해져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ViewBinding ViewBinding은 findViewById의 반복코드의 불편함을 없애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간단한 예제코드를 보자면 build.gradle -ViewBinding은 양방향바인딩을 지원하지 않...

[안드로이드] View Binding(뷰바인딩) 사용 방법
이 포스팅에서는 View Binding의 Activity와 Fragment의 예제를 다룰 것이다.이론이 필요한 사람은 ViewBinding vs DataBinding 참고새로운 액티비티 SecondActivity를 만든다.Fragment를 넣어줄 FrameLayout을

Null 처리로 fragment의 메모리 누수 문제 해결
현재 작은 프로젝트로 Todo_list를 만들고 있었는데 흥미로운 주제가 생겼다. 바로 뷰를 연결해주는 Fragment와 ViewBinding사이에서 Fragment의 LifeCycle의 onDestory View와 onDestory 처리에 메모리에 누수라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ViewBinding에 Null처리를 하는 과정...

TIL) 230330
Activity와 Fragment의 기본 틀을 미리 짜두고 싶어서 추상 클래스를 만들었다.viewBinding 부분을 제외하면 Fragment도 같은 구조를 사용하였기에 생략한다. 그리고 이 베이스 코드를 활용한 Activity 코드는 다음과 같다.그런데 다음 오류를
DataBinding vs ViewBinding
DataBindingViewbinding에 비해서 Build Speed가 더 느린데요. 하지만 이 말의 의미는 여러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Build Speed가 빠르면 좋긴하나 느리다고 꼭 나쁜건 아닙니다. Databinding은 느린대신 layout에서 표현식

[Android] ViewBinding과 DataBinding 파헤치기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면서 Viewbinding과 Databinding이 최근에 많이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에는 findViewById()를 사용했는데 왜 바뀌었는지 알아보려 한다!연결된 두 데이터 혹은 소스를 일치시키는 기법XML에 Data를 부착하

ViewBinding 구현방법 정리
졸업작품을 만들 당시 코드를 구현하다 보니 TextVeiw a = findviewById("R.id.xxx"); 이런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너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해서 ViewBinding을 찾아보게 되었고 ViewBinding이 개발 공식문서에서도 ViewBinding
Extension에서 ViewBinding으로 고치는 작업(FindViewByID)
Kotlin의 Extension 기능이 사라진다는 말을 나중에 알아 그 코드들을 모두 ViewBinding으로 고쳤었습니다.findViewByID보다 쉽게 뷰와 상호작용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합니다.모듈에서 사용 설정된 뷰 결합은 모듈에 있는 각 XML 레이아웃

TIL) 0831
바인딩을 할 때 초기값이 null이어야 하는 이유 Fragment에서 onCreatView()가 호출될 때까지 레이아웃을 inflate할 수 없기 때문에 null을 허용해야 한다. null을 허용하기 때문에 null safety를 위해 ?를 꼭 포함하자! 그리고 계속

[Android] viewBinding
build.gradle (Module)에 아래 코드 추가MainActivity.kt에 아래 코드 추가해당하는 xml 파일에 따라서 이름이 바뀜 (e.g. activity_main.xml -> MainActivity.kt)① View를 직접 참조하기 때문에 유효하지 않은

[Android-studio] ViewBinding
View를 불러올 때 findViewById보다 더 쉽게 작성할 수 있다, 즉 View와 상호작용하는 코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다.각 xml 파일에 대해 ViewBinding 클래스를 상속 받는 개별 ViewBinding 클래스를 생성한다.ViewBinding의 인
[Android] ViewBinding
View binding is a feature that allows you to more easily write code that interacts with views. Once view binding is enabled in a module, it generates

Android DataBinding vs ViewBinding
과거 Android를 개발할 때 view에 접근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findViewById'를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findViewById'의 문제점? 접근할 view 항목을 일일히 정의해 주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