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code-range
font
언어별 폰트 지정 (unicode-range) https://velog.io/@zaixu/220707 Uni 코드범위 https://unicode.org/charts/ https://wit.nts-corp.com/2017/09/25/4903 baseline https://wit.nts-corp.com/2017/09/25/4903 맑은 고딕 폰트여도 브라우저마다 표현하는 맑은 고딕이 다름 다이나믹 서브셋 https://github.com/orioncactus/pretendard#%EB%8B%A4%EC%9D%B4%EB%82%98%EB%AF%B9-%EC%84%9C%EB%B8%8C%EC%85%8B 가변 다이나믹 서브셋 https://github.com/orioncactus/pretendard#%EB%8B%A4%EC%9D%B4%EB%82%98%EB%AF%B9-%EC%84%9C%EB%B8%8C%EC%85%8B pre, code, kbd, samp 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가독성
폰트 사용
@font-face @font-face 를 사용해서 웹 페이지의 텍스트에 온라인 폰트 (online fonts)를 적용할 수 있다. @font-face를 사용해서 디자이너가 원하는 폰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로만 사용해야 했던 제약이 없어지게 되었다! 문법(Syntex) 아래 예제에서는 로컬에 설치된 “Helvetica Neue Bold” 폰트가 사용된다. 만약 해당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운로드 가능한 "MgOpenModernaBold.ttf” 폰트가 대신 사용된다. font-family font-family 속성은 선택된 요소에 우선순위가 지정된 font family 이름과 generic family 이름을 지정할 수 있게 해준다. 값은 콤마(,)로 구분해서 대체가 될 수 있다. 내가 지정한 글꼴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지정한 서체가 없는 경우, 사용할

언어 별로 폰트를 적용하는 방법 unicode-range
"영문은 Roboto로, 한글은 나눔 스퀘어로, 숫자는 Noto Sans로 적용해 주세요." 만약 이런 요청이 있다면 태그를 각각 감싸주지 않아도, class를 만들지 않아도 unicode-range를 이용하면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unicode-range란? unicode-range는 @font-face로 정의된 폰트를 특정 범위의 글자에만 설정하는 방법이다. HTML 문서 내에 해당 범위의 글자가 없으면 폰트를 다운로드하지 않는다. 적어도 한 글자 이상이 있어야만 다운로드한다. 적용 방법 유니코드 범위 영문: U+0041-005A(대문자), U+0061-007A(소문자) 한글: U+AC00-D7A3 숫자: U+0030-0039 특수문자: U+0020-00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