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ion

2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SQL 개발 일지 3주

3주차에서는 Join 명령어에 대해 공부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여러 정보들을 테이블 별로 나누어 담기 마련인데 Join를 이용하면 이런 나누어진 테이블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도출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연결 시킬 테이블들에 동시에 존재하는 필드 값인 'key'가 필요하다. 사용 프로그램 : DBeaver, 사용 DB : 스파르타 코딩클럽 [학습자료] (https://teamsparta.notion.site/SQL-3-aa8926f687e44a38a499fe03b0166dc1) Join Join 명령어는 크게 3가지가 있지만 inner join> left join> outer join순으로 많이 사용 된다. outer join은 극히 쓰일 일이 없으므로 넘어가고 left join 부터 알아보자. left join 왼쪽의 테이블에 다른 테이블을 붙여 넣는 join을 의미한다. left join에서 주의 할 점은 순서로 from 뒤에 있는 테이블에 left

2023년 8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OIN, UNION, UNION

쿼리문이란 쉽게 쓰려고 하긴 하는데 점점 어려워 지는거 같다. JOIN과 UNION 차이는 뭘까? MYSQL하면 JOIN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들 알게 될것이다. 둘 이상의 데이터를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부분에서 JOIN과 UNION은 같지만 얻은 결과의 데이터 형식, 결합하는 방식이 다르다. JOIN 같은경우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의 집합으로 만들어준다.(SELECT 문과 주로 사용) ON을 사용하여 A.KEY = B.KEY 로 묶어서 사용한다. [JOIN 종류] INNER JOIN : 기본적이고 널리사용. 기준 테이블과 비교테이블 같이 포함된것. 기준 테이블인 A에 포함된 것 뿐만아닌 비교하는 B에 있는 정보 까지 조회 예를 들어, A의 물품 구매정보를 조회하고 그 구매정보에 있는 KEY를 대조해 B 테이블에 교집합에 조회되는

2022년 11월 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