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nsport layer

TCP 통신계층 + JavaScript 기본지식 2
Transport Layer(전송 계층)은 End Point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데이터를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해주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고, 송수신 과정에서 메모리 한계로 데
[Network] TCP와 UDP의 차이
TCP와 UDP는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입니다. 먼저, 둘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전에 전송 계층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이해해야 합니다.

[TCP] 혼잡제어
데이터의 양이 라우터가 처리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면 라우터는 더 이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송신 측은 라우터에서 처리하지 못한 데이터를 손실 데이터로 간주하고 계속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됩니다. 이는 네트워크를 혼잡하게 만듭니다.
[TCP] 흐름제어
수신 측이 송신 측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릴 경우 데이터를 손실할 위험이 존재합니다. 흐름 제어는 이런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TCP] 왕복시간(RTT) 예측과 타임아웃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은 두 개의 호스트를 연결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교환하게 해주는 중요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통신] CH. 7 TCP, UDP
연결지향 프로토콜인 TCP와 비연결지향 프로토콜인 UDP, 두가지의 Transport Layer(4계층) 안에 존재합니다. 수신측이 데이터를 승인해야 다음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연결지향• 높은 신뢰성• 속도가 느림• 3-way handshaking을 통해서 상
OSI 7 계층
encoding - 0 과 1 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뀌어 전선으로 흘려 보내는 작업decoding - 아날로그 신호를 0 과 1 의 나열로 해석하는 작업module -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0 과 1 의 나열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모듈Phys

네트워크 - 3. Transport Layer (3)
바로 TCP Congestion control에 대해서 알아보자. congestion avoidance와 congestion detection으로 나뉘며 각각에는 여러 구현 방법이 존재한다.

OSI 7 Layer 란?
유튜브 [10분 테코톡] 🔮 히히의 OSI 7 Layer를 정리한 물리계층 과 데이터링크계층 과 네트워크계층 과 전송계층 과 응용계층을 포함한 내용입니다
TCP와 UDP
인터넷의 transport protocols 서비스에는 TCP와 UDP가 존재한다.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reliable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