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am project

43개의 포스트

git 사용예시

1, git hub 레포 생성 후 repostory (메인 저장소) 생성 initial settings 이전에 초기환경설정 완료후 git add . ("."의 의미는 현재 위치의 모든것) git commit -m "" git push origin main 2, 팀원들이 clone으로 main branch 상대로 코드를 받는다 git clone https://github.com/.../... git branch feature/작업명 git checkout feature/작업명 3, 이후 작업완료후 git add . git commit - m "작업내용" git push origin feature/작업명 pull request 요청 %% 만약 같은 작업이 병합이 된 경우 충돌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7일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9 Team Project - Kiosk 2 (despaired...😭)

팀 프로젝트인 키오스크를 만들고 있다. 메뉴를 카테고리별로 각각 맡아서 하였고, 난 data class를 이용해서 메뉴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한 팀원분은 카테고리를 추상화를 진행하여 나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 그래서 더 좋은 방법을 고르려고 튜터님께 문의를 했더니 실습 상태에서는 data class를 사용해도 프로젝트에서 주어진 Lv0~Lv5까지 소화하는데 무방하나, 하드코딩이고 실무에서는 추상화를 하여 상속하는 방향으로 해야 한다고 하셨다. 정리하자면 쉬운 방법은 추상화를 하지 않고 data class를 사용하는 것이고, 실무처럼 하는 방법은 추상화와 상속하는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다. 팀원들과의 대화 끝에 우선 추상화와 상속하는 방법으로 하기로 했다. 그런데 난 추상화에 대해 잘 몰라서 각 메뉴 카테고리를 추상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개념은 대충은 알겠는데 적용을 못하겠다.😭 Chat CPT한테는 물어봐도 잘 모르겠다ㅠㅠㅜㅠ 우

2023년 7월 26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7 Team Project - Kiosk Programming

Team13 우리 팀 이름은 '소통 잘하조'! 팀이 발표되고 다들 모였는데 이렇게 캠을 다 켜고 있던건 이번 팀가 처음인 것 같다ㅎㅎㅎ 물론 지난 팀도 다 좋았지만 이번 팀원들이 대답도 질문도 정말 잘 해주셔서 신난다😄 팀원이 4명이라 처음엔 약간 걱정했지만 걱정할 필요 없을 것 같다! 💡 Kiosk Concept 팀프로젝트로 키오스크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었다. 우리조 키오스크의 컨셉은 술집! 팀원 각각 메뉴의 한 카테고리(탕류, 밥류, 마른안주, 주류)씩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었다. 난 그중 마른안주를 맡게 되었다. 팀장님은 메인 페이지까지 해주기로 하셨당ㅎㅎ 💻 Code 메뉴와 가격, 설명은 역전할머니맥주를 참고해서 만들었다! 우선 menu3 클래스의 기본 구성은 이렇게 했다. 1~4을 입력하면 선택한 메뉴가 나오고 위 메뉴를 장바구니에 추가하시겠습니까? [1] Yes [2] No라는 문구가 나오는 것까지 구현했다. 0을 입

2023년 7월 24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am-Project ( popstore-community ) 회고록

시연영상 - 검색, 필터링 기능 > - 글쓰기, 댓글 쓰기 > <img src='https://velog.velcdn.com/images/leeleeleeleejun/post/cdb4a67d-96ae-4a75-980d-14e09d259ca1/image.gif' wi

2023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

[JAVA][조별과제] 04 쇼핑몰 Crawling & MVC

설계서 View Crawling MemberVO MemberDAO ShoppingVO ShoppingDAO Ctrl Client

2023년 6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1st team project - 장바구니 구현

장바구니 페이지 > 이번 1차 프로젝트에서 메인, 장바구니 페이지를 맡았다. 구현하기까지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결론적으론 여러 REST API (GET, PATCH, DELETE) 를 모두 활용해 볼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다. > 기획 초기 레이아웃 > 최종 레이아웃 페이지 구현사항 1) Dropdown 이솝 사이트 레이아웃을 따라가서 드롭다운 형식으로 기획하였다. 드롭다운 형식의 레이아웃은 화면 공간

2023년 5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1st team project 회고록

1st team project 회고록 > 롤러코스터 같던 2주간의 1차 프로젝트가 끝이났다.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도 모르는채 달려온 지난 날들과 특히나 프로젝트 매니저라는 역할, 그리고 처음 해보는 협업에 스스로의 부족함을 느끼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하는 팀원들이 있어서 완성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1.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 진행기간 : 2023.05.01 ~ 2023.05.12 (총 2주) 클론 코딩 사이트 : Aesop 팀명 : rgb . 개발인원 : Product Manager: backend(1명) Project Manager: frontend(나) Teammates: backend(1명) / frontend(4명) [Github Re

2023년 5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am-Project ( shopping-mall ) 회고록

시연 영상 - 메인페이지, 로그인, 제품상세, 장바구니 - 결제, 주문완료, 마이페이지, 주문상세 > git hub 쇼핑몰 코드 확인 이동 >- 2주간 진행한 팀 프로젝트 과정 전체에 대한 소개 >- 첫 팀프로젝트를 하며 배운 점 >- 코드에서 발생한 에러와 해결과정을 통해 배운 것 >- 첫 팀 프로젝트 (협업) 후기 1. 프로젝트 소개 > - 처음으로 진행한 팀

2023년 4월 30일
·
0개의 댓글
·

팀플 시작..

..

2023년 4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넘블 팀프로젝트] - 첫 회의 (서비스 주제 정하기, 타 서비스 분석)

넘블에서 시작하는 지역기반 커뮤니티 만들기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디자이너, 백엔드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협업해서 하나의 서비스를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실무에서도 만나게 될 다른 직군의 사람들과 나에게 필요한 기술스택인 React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하는 것은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아서 망설임 없이 신청했다. 우리팀은 프론트엔드 3명, 백엔드 2명, 디자이너 1명 으로 구성되어있다. OT때 팀 회의 링크를 잘못 클릭해서 내가 다른팀에서 회의를 한(?) 불상사가 있었지만 팀원들이 내게 따로 연락을 해줘서 다행히 나의 원래 팀으로 돌아갈수 있게 되었다.😂 팀 회의 - 첫째날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위한 첫 회의를 시작하기로 한 날은 무지 기대가 되었다. 각자 생각한 서비스 이름, 기획 내용, 아이디어를 말하고 투표로 어떤 주제를 정할지 결정했다. 기획 내용 우리 팀은 마트에서 살 재료를 나누는 '소분소분' 이라는 서비스를 기획하

2022년 10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yper-v 망분리 프로젝트

최근에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쭉 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하나있다. > 인코그니토라고 4인체제의 팀을 꾸려서 '논리적 망분리' 주제로 11월달에 있는 인코그니토 conference에 참여한다. 가장 많은 힘을 쓰고 있는 대외활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것같다. 이프로젝트는 주제 선정에 있어서 너무 힘들었다. 팀원들간에 소통이 어려웠던 것이 이유었던것 같다. 촉박한 기간 주제 선정 기일은 다가오지만 팀원들의 주제 의견이 협소했다. 그 상황이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었다. 급하게 짜여진 팀원들이 촉박한 제한 기일내에 갑자기 주제를 선정하라니 힘들 것이다. 특히 아직 우리는 2학년, 이제 막 1학년을 넘어 2학년이 된 대학생일뿐이다. 각자의 진로도 정하지 못했는데 자신들이 흥미있는 분야에 대한 주제를 각자 찾아보자니 어려울 것이다. 주제 선정 그래도 개인적으로 관심있어하는 클라우드, 네트우크 분야에 대한 여러 뉴스와 자료들을 보면서 어떤 주제가 좋을지 고

2022년 10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2CD' 팀프로젝트 시작!

우리 W2CD 팀은 직장인 1명(Coti), 취업 준비생 1명(Hi_jhin), 그리고 나(edcs960)로 총 3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가 제작할 첫 팀 프로젝트의 주제로는 'Online Compiler 및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 웹사이트' 이다. 여러 웹 컴파일 사이트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W3School 라는 사이트를 보고 웹 컴파일러뿐만 아니라 언어별 기본적인 문법이 정리되어있으며, 간단한 퀴즈를 통해 해당 부분이 있어 프로그래밍 공부에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었지만 해당 사이트는 영어로 이루어져 있어 크롬에서 지원하는 번역기를 사용한다해도 번역이 어색한 부분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색한 부분으로 인해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초보 개발자들이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히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고 생각되어 한글로 작성된 프로그래밍 공부 웹사이트가 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팀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글을 적으며 W3Schoo

2022년 7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roject] Happyever - 국내여행 플래너

✈️ Happyever > #### MVC 패턴을 활용한 JSP 팀 프로젝트 - 국내여행 플래너 > ### 🔗 Source Link https://github.com/Hyun-HaHa/Happyever 📆 개발 기간 2022-05-17 ~ 2022-07-01 🙍‍♀️🙍‍♂️팀원 소개 & 역할 총 7명 (멀티 포지션) 정유섭 (조장) - 게시판, 일정 만들기 조현하 - 메인페이지, 로그인 & 로그아웃, header 문기연 - 메인페이지, 비밀번호 찾기, footer 문승우 - 일정 만들기 김태경 - 일정 만들기 박종휘 - 마이페이지 유승재 - 회원가입 📖 프로젝트 소개 >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Tour3.0 API와 지도 API 등을 이용해 직관적인 UI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여행 플래너 이제 코로나19로 인한 제한이 풀어지면서 여행을 마음껏

2022년 7월 14일
·
0개의 댓글
·

팀프로젝트 기록1

Todo List 아이디어 회의 디자이너분과의 만남 와이어 프레임 제작 Review 1 오전 팀프로젝트 OT 종료후 팀원들끼리 모여서 주말동안 생각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디어는 다양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직접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상담 사이트, 꿈과 관련된 사이트, 간단한 심부름을 할 수 있는 사이트, 날씨와 관련된 옷차림을 추천해주는 사이트 등등 저마다 개성있고 다른 아이디어들을 가져왔다. 2 기획 회의는 만만하지 않았다. 생각할게 많았고 디자인 전공을 했었지만 이미 오래전 일인 데다가 개발자의 입장으로 디자이너와 협업을 하려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일을 나눠야하는지 구분하기가 어려웠다. 저녁 회의가 끝난 이후에서야 사이트에 대한 전체적인 컨셉을 잡을 수 있었다. 3 목업이 금요일까지는 완성되어야 한다. 그 사실이 부담스럽긴 하지만 팀원들이랑 함께 으쌰으쌰해서 열심히 하는게 가장 최선이라고

2022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import-H 프로젝트 중간 회고

import-H 프로젝트 import-H는 프론트 4명, 백엔드 2명으로 팀을 만들어서 개발중인 프로젝트이다. >notion: https://jamong1.notion.site/Import-H-d4f69f3c20ce4a22a5b0f6ac952da2d2 지난 1년간 약 30명이 활동하는 프로그래밍 스터디를 운영하며, 관리자 역할을 혼자 하다보니 신경써야 하는 부분도 많았고, 스터디 팀원 관리도 미흡한 점들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터디 사이트를 만들게 되었다. 프로젝트 미리보기 로그인/회원가입 로그인과 회원가입은 각 input에 들어오는 값을 검사해서, 형식이 맞지 않으면 제출이 되지 않도록 만들었다. 메인화면 배너 부분은 관리자가 직접 추가,삭제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주

2022년 2월 17일
·
0개의 댓글
·

Team Project - Nike Clone Coding (4)

📲 팀 프로젝트 >저번 Wepleshop 1차 프로젝트를 수행 후 두번째 팀 프로젝트입니다. 1차 프로젝트에서의 부족했던 점과 더 배우고 싶었던 점을 깨달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클론 코딩 프로젝트의 주제는 Nike 웹사이트 입니다. 나이키는 스포츠웨어 브랜드 중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평소 나이키를 좋아하는 저와 희윤님에 의해 Nike 가 채택되었고, 1차 프로젝트인 마플샵 클론코딩과 같은 웹 쇼핑몰이기에 진행 방향이 비슷했습니다. 차이점은 리스트 페이지 내에서의 다양한 필터링 SNKRS 페이지에서의 응모 및 추첨 기능이었으며, 백엔드를 구현할 저와 준혁님은 각자 이러한 메인 기능(필터링, SNKRS)을 한 가지씩 분담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Team : 역할 분담 >백엔드 : 이준혁 김영욱 **프론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Team Project - Nike Clone Coding (3)

📲 팀 프로젝트 >저번 Wepleshop 1차 프로젝트를 수행 후 두번째 팀 프로젝트입니다. 1차 프로젝트에서의 부족했던 점과 더 배우고 싶었던 점을 깨달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클론 코딩 프로젝트의 주제는 Nike 웹사이트 입니다. 나이키는 스포츠웨어 브랜드 중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평소 나이키를 좋아하는 저와 희윤님에 의해 Nike 가 채택되었고, 1차 프로젝트인 마플샵 클론코딩과 같은 웹 쇼핑몰이기에 진행 방향이 비슷했습니다. 차이점은 리스트 페이지 내에서의 다양한 필터링 SNKRS 페이지에서의 응모 및 추첨 기능이었으며, 백엔드를 구현할 저와 준혁님은 각자 이러한 메인 기능(필터링, SNKRS)을 한 가지씩 분담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Team : 역할 분담 >백엔드 : 이준혁 김영욱 **프론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am Project - Nike Clone Coding (2)

📲 팀 프로젝트 >저번 Wepleshop 1차 프로젝트를 수행 후 두번째 팀 프로젝트입니다. 1차 프로젝트에서의 부족했던 점과 더 배우고 싶었던 점을 깨달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클론 코딩 프로젝트의 주제는 Nike 웹사이트 입니다. 나이키는 스포츠웨어 브랜드 중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평소 나이키를 좋아하는 저와 희윤님에 의해 Nike 가 채택되었고, 1차 프로젝트인 마플샵 클론코딩과 같은 웹 쇼핑몰이기에 진행 방향이 비슷했습니다. 차이점은 리스트 페이지 내에서의 다양한 필터링 SNKRS 페이지에서의 응모 및 추첨 기능이었으며, 백엔드를 구현할 저와 준혁님은 각자 이러한 메인 기능(필터링, SNKRS)을 한 가지씩 분담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Team : 역할 분담 >백엔드 : 이준혁 김영욱 **프론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am Project - Nike Clone Coding (1)

📲 팀 프로젝트 저번 Wepleshop 1차 프로젝트를 수행 후 두번째 팀 프로젝트입니다. 1차 프로젝트에서의부족한 점과 더 배우고 싶었던 점을 깨달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클론 코딩 프로젝트의 주제는 Nike 웹사이트 입니다. 나이키는 스포츠웨어계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브랜드입니다. 평소 나이키를 좋아하는 저와 희윤님에 의해 Nike 가 채택되었고, 저번 마플샵 클론코딩과 마찬가지로 웹 쇼핑몰이기에 진행 방향은 비슷했습니다. 차이점은 리스트 페이지 내에서의 다양한 필터링 SNKRS 페이지에서의 응모 및 추첨 기능이었으며, 백엔드를 구현할 저와 준혁님은 각자 이러한 메인 기능을 한 가지씩 분담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Team : 역할 분담 >백엔드 : 이준혁 김영욱 프론트 엔드 : 황희윤, 이진웅 적용 기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