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ystemd

21개의 포스트

rc.local 활성화

rc.local은 부팅 시 등록되어있는 명령어를 자동 실행한다.부팅 중 Init 단계에서 가장 마지막에 실행되며, 보통 서비스와 같은 데몬들을 실행하기 위해 설정한다.rc.local이 비활성화 되어있을 시 활성화 하여 원하는 스크립트나 명령어를 부팅때마다 실행할 수 있

2일 전
·
0개의 댓글
·

SysV init, Upstart, Systemd 차이점

SysV init Upstart systemd ahen Linux 시스템의 초기화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init 시스템이다.SysV init초기의 Unix System V에서 파생된 가장 오래된 init 시스템 중 하나이다. 이 시스템은 실행 레벨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시

2023년 3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쿠버네티스 3주차 1/4]리눅스 - 논리 볼륨(Logical Volume) 관리 & systemd, 리눅스 부트 프로세스

물리볼륨생성pvcreate 장치명1 볼륨그룹생성vgcreate vg명 pv명...... -s pe 사이즈논리볼륨 생성lvcreate vg명 -n lv명 (-L 실제크기 / -l pe 갯수)물리볼륨 삭제 : pvremove pv명...볼륨그룹 삭제 : vgremove v

2023년 1월 4일
·
0개의 댓글
·

systemd

system daemon, daemon 이란, background 에서 실행이 되는 프로세스를 칭한다. systemd 는 이전에 사용하던 init daemon 을 대체하여 등장한 것으로, init 대신 PID 1 자리를 지키고 있다. systemd 는 unit 단위로

2022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작업예약 at 예약한 명령을 정해진 시간에실행 atq 현재 사용자의 등록된 작업 목록 출력 atrm 지정된 작업 번호 작업을 삭제 crontab(스케줄링 배치) 정해진 시간에 반복 실행 crond (daemon process)에 의해 crontab 파일 내용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정해진 작업 수행 crontab 파일

2022년 11월 17일
·
0개의 댓글
·

Docker ? Containerd

https://www.linkedin.com/pulse/containerd%EB%8A%94-%EB%AC%B4%EC%97%87%EC%9D%B4%EA%B3%A0-%EC%99%9C-%EC%A4%91%EC%9A%94%ED%95%A0%EA%B9%8C-sean-lee/?

2022년 9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데몬(Daemon) - service, systemctl(systemd), daemon 실행 및 생성하기

이름의 유래는 맥스웰의 도깨비에서 따왔다고 한다, "맥스웰의 사고 실험 - 열역학 제2법칙은 같은 온도를 갖는 두 물체가 자발적으로 서로 온도가 달라지는 것" 의 실험 설명에서 작은 '도깨비' 가 방문을 지킨다고 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데 열심히 일을 하는 모습

2022년 7월 31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설정 및 배포

프로세스를 실행한 터미널의 세션 연결이 끊어져도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systemd를 사용하여 설정해보았습니다.

2022년 7월 24일
·
0개의 댓글
·

Linux systemd (systemctl)

systemd와 systemd service 파일에 대하여

2022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Unix Init Process: Systemd

Init precess. 커널이 부팅완료 된 뒤에 첫번째 pid 프로세스 부터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서비스는 운영체제에서 부팅중 실행되어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동작하는 프로그램(프로세스)을 말한다. 시스템에서 필요한 서비스들은 굳이 부팅이 완료된 이

2022년 3월 24일
·
0개의 댓글
·

cgroup driver 정리

cgroup은 control group의 준말로 컨테이너 생성에 있어서 기초되는 개념이다. 컨테이너가 생성될 때 저수준 런타임 단계에서 linux kernel의 namespace와 cgroup을 이용해서 컨테이너를 만들고 실행시킨다. 여기서 cgroup은 호스트 리소스

2022년 2월 28일
·
0개의 댓글
·

systemctl / service

https://llnote.tistory.com/508

2021년 9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 timer

systemd timer

2021년 7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 for Administrators [번역]

systemd study중에 https://freedesktop.org/wiki/Software/systemd/ 에 링크된 Lennart(?)라는 분의 'The systemd for Administrators Blog Series'의 내용을 발견하고 내용이 좋아 번역해

2021년 6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system daemon) systemctl, journalctl 명령어 사용법

systemd(system daemon)은 전통적으로 Unix 시스템이 부팅후에 가장 먼저 생성된 후에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init 역할을 대체하는 데몬이다.

2021년 5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로 시스템 자원 제한하기

systemd 계층 확인 / systemd 로 시스템 자원 제한

2021년 5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 시간 동기화

systemd-timesyncd 를 통해 리눅스 시간 동기화

2021년 5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 service

systemd service

2021년 5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

systemd / systemctl

2021년 5월 4일
·
0개의 댓글
·

Linux systemd 서비스 관리

node.js 프로젝트를 배포하면서 도커를 사용해서 node.js 서버를 빌드하기로 했다. 도커이미지 파일을 작성하던 중, 데이터베이스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서 서버를 listen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니 일정 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 매니저가 connection요청을 계속

2021년 4월 17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