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do
root, sudo, su
Ubuntu에서는 일반적으로 root 계정이 잠겨 있음.따라서 잠겨있는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없음.일반 사용자는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대신 일시적으로 root 권한을 얻기 위해 sudo 명령어를 사용함.Super User DO 의 줄임말이었으나, UNI

구글 클라우드 터미널 오류(unable to acquire the dpkg ..)
처음으로 구글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인스턴스(instance)를 하나 만들어 봤다.해당 인스턴스 내에서 docker를 이용하기 위해 설치는 했다.해당 명령어 apt install docker-compose하지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이럴 때 sudo apt up

[HTB] Inject
머신을 실행하고 발급된 머신의 IP를 대상으로 포트스캔을 먼저 진행했다.대상 호스트에는 22/tcp, 8080/tcp 포트가 오픈되어있으며, Linux 계열의 OS인것으로 파악되었다.웹 서비스로 추측되는 8080/tcp에 접근하니 일반적인 브랜딩 페이지로 보이는 사이트

[HTB] Busqueda
HTB의 Busqueda 머신을 해결하는 과정을 기록머신을 실행하고 발급된 머신의 IP를 대상으로 포트스캔을 먼저 진행했다.대상에는 22/TCP, 80/TCP가 열려있는 것을 스캔 결과로 확인할 수 있고 대상 호스트는 searcher.htb라는 도메인이 사용되고 있다.
su와 sudo의 차이
su는 switch user의 약어입니다.su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른 user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해당 user 계정으로 switch하게 되면, 그 user가 로그인한 것처럼 해당 user가 소유한 모든 파일, 디렉토리들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명령
sudo 권한 부여하기
sudo 권한 설정은 /etc/sudoers 파일에서 가능하다./etc/sudoers 파일 권한 확인sudoers 파일에 쓰기권한 설정cf) r : 4 / w : 2 / x : 1 user / user_group / etcsudoers 파일 편집 안전을 위해 sudoe

[CentOS] sshd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 살펴보기
ec2인스턴스 생성해 AWS 접속 OS > red hat 7.9 버전 BastionHost Config root login 설정(sshd) sshd_config 파일 주요 설정 port 22 ssh가 사용할 기본 포트 지정 Allowusers user1 root 로그인 허락할 계정을 기록 user1과 root 두 계정에게만 로그인 허용 Pro...
digital envelope routines 오류 해결-윈도우10
node.js를 설치하고 실행하던 중 "digital envelope routines" 에러가 떴다. 찾아보니 이 에러는 node.js를 최신버전으로 설치했을 때 나타난다고 한다....

[쿠버네티스 3주차 1/6] 리눅스 - 사용자 지정 설정 이어서 & 로그
usermod사용자 계정정보를 수정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md: 홈 디렉터리를 수정 및 디렉터리 생성을 위해 반드시 이것으로 사용해야함\-l: 계정 이름을 바꾼다.\-aG: 새로운 사용자에게 새로운 보조그룹 추가usermod -L 계정명 : 해당 계정 잠금, 패스

Born2beroot - 가상머신 및 CS지식
들어가기전에 가상 머신(Virtual Box)의 사용 방법 OS의 차이점 파악 다양한 보안모듈 및 보안시스템 공부 리눅스를 이용해서 자신이 필요한 서비스를 설치 Mandatory Virtual Machine 가상머신 하나의 물리서버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도커실무 강의 2주차
💡 django, db, web server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환경에서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가상머신과 컨테이너 환경의 차이>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컨테이너는 각각 독립적인 환경에서 구동되기
su/ su - / sudo 명령어, 차이
리눅스에서 특정 명령을 실행하거나 ,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 때로는 루트(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su / su- / sudo 명령어들과 각 명령어들의 차이점, 현재 계정을 확인하는 whoami 명령어와 계정 전환 후
[linux] 계정에 sudo권한 추가하기
전 피드에서 새롭게 계정을 만들었지만 sudo 권한이 없어서 설치하거나 폴더를 생성할 때 권한이 없어서 많은 에로사항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주로 새로 계정을 만들면 sudo 그룹에 넣어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해준다.그럼 이제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ubuntu sudo 명령어 path 동일화
우분투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어느 경로에서든지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PATH를 추가한다.$ export PATH=$PATH:{명령어경로}만약 특정 프로그램이 sudo 이용해야만 정상 실행된다면 위의 PATH가 적용되지 않는다.우분투에서 sudo 명령어를 했을
[42서울] Born2beroot_Sudo와 TTY
Born2beroot 과제를 하면서 수도 설정을 해야 하는데, 막연하게 수도 명령은 막강한 파워를 가졌다고만 알고 있었다. 정확히 수도란 무엇일까? 👑 Sudo Sudo(Super User Do 또는 substitute user do)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Born2beroot 정리
순서1\. sudo 설치2\. visudo 셸 입력 후 이해할것.3\. 로그 경로 저장 4\. 유저추가 - 그룹 sudo, user42추가5\. 방화벽 설치6\. ssh설치 및 설정 이해하기7\. 포트포워딩 후 동작확인 (루트 불가하도록)8\. 패스워드 설정 및 명령어

[Born2beroot] 1. sudo 설치 및 설정
💡 sudo 란? 에서 유래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 권한, 보통 슈퍼유저로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 sudo 설치 1. 명령어 su - 를 통해 root 계정으로 이동한다. su는 substitute u

[리눅스마스터1급] 2.3.2 시스템 보안 관리
요새 제일 애먹는 부분이 아닌지...ㅎㅎㅎ 싶은.. 리눅스 보안 및 인증 !! 연결이 어렵다는건 그만큼 보안이 강력하다는게 아닌가 싶다. 아무에게나 ssh 접속을 열어줘서는 안되고... 어쩌면 root 권한을 남발하고 있는 현재 상태가 그닥 좋은 건 아닌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