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cial

8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Flutter]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해 보기 2편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해 보기 2편 Firebase Authentication Documentation firebase_core | Flutter Package firebase_auth | Flutter Package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해 보기 1편 Firebase 세팅하기 - Flutter 3.0 이후 [Firebase 세팅하기 - Flutter 3.0 이전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해 보기 1편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해 보기 1편 Firebase Authentication Documentation firebase_core | Flutter Package firebase_auth | Flutter Package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해 보기 2편 Firebase 세팅하기 - Flutter 3.0 이후 [Firebase 세팅하기 - Flutter 3.0 이전

2023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네이버 로그인 - Social / Naver

네이버 로그인 카카오 로그인 구글 로그인 - Firebase 없이 GCP로 로그인하기 네이버 로그인 이슈 네이버 로그인 이슈 - Android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로그인에 대해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네이버 로그인은 flutter에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SDK를 제공하고 있어서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Naver Developer 네이버 개발자 센터를 방문하여 로그인을 진행한다. 상단 탭에 Applicatio

2022년 12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07.21 [Redis사용]

* redis를 이용해서 가변성이 있는 데이터는 redis로 저장하여 사용하기 중복로그인 방지와 소셜로그인 할때 중복 이메일 있으면 어느 경로에서 가입했는지 알려주기 이메일인증번호는 필수 입력값으로 저장하기보다는 일회성 데이터라 가변성이 가볍기 때문에 선택 > ### Redis란? 왜쓰는가. 오픈 소스로서 NoSQL로 분류되고, in-memory 솔루션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Key-Value 쌍의 해시 맵 형태의 서버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디스크에 데이터를 쓰는 구조가 아니라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Redis 개념잡기 > * 오늘 한일 이메일 인증과 토큰값을 redis에 저장하여 사용 이메일 인증은 한번만 쓰이기 때문에 발급이후 5분뒤에 삭제 해놓았다. 토큰값은 발급할때 유효한 시간 설정이랑 같게 해

2022년 7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Social Login - Google_without firebase

Google Login - without firebase 이번 글에서는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구글 로그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구글 로그인은 스토어에 서비스 중인 많은 앱들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소셜 로그인 방법 중 하나이며,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입시 로그인 로직을 우선 개발해야 하는 경우 ADB/Simulator에서도 로그인을 사용하기 위해 구글 로그인을 활용하여 개발을 하고있다. Flutter에서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GCP(Google Cloud Platform)프로젝트를 생성하여야 한다. GCP 생성 구글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CP(Google Cloud Platform)프로젝트가 필요하다. 기존 프로젝트가 없다면 아래와 같이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tygerhwang/post/a2cc09a8-8082-4f1a-b3b7-

2022년 7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Social Login - Kakao

Social Login - Kakao Talk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 로그인에 대해서 작성하려고 한다. 소셜 로그인 중에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카오 로그인에 대해서 개발자 센터 등록 부터 소스 코드까지 설명하겠다. 맥OS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카카오 관련 SDK는 flutterkakaosdk를 사용하여 작성한 글이다.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kakao developer에 앱 등록을 하여야 사용할 수 있다. kakao developer 사이트에 접속하여 카카오 계정에 로그인한 뒤 상단에 "내 애플리케이션" 탭에 진입 후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눌러준다. 앱 아이콘/앱 이름/사업자명을 입력하게 되어있는데 나는 앱 이름과 사업자명에 "velogexample"라는 이름으로 생성하였다. ![](https://velog.velcdn.com/images/tygerhwang/post/e07a5c33-3dca-419a-b96b-ac692b74f7a3/ima

2022년 6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act+Django]Kakao Social Login

개발순서 Frontend에서 Kakao Login 버튼 구현 Frontend에서 앱키를 사용해 카카오 서버와 통신, access token받기 access token을 Backend(Django)로 보냄 Backend에서 access token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받음 사용자 정보를 통해 JWT(Json Web Token)을 받고 회원가입 유무를 체크해 신규 가입 혹은 로그인 참고 react-kakao-login all auth, rest-auth 등 Django의 다른 모듈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더 복잡해지는거같아서ㅠ 1.Frontend Kakao login https://www.npmjs.com/package/react-kakao-login 카카오 로그인을 위해서 첫번째로 리액트 카카오 로그인을 받아준다 위와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Token같은 경우는 Kakao Developers에서 앱키->J

2021년 4월 27일
·
1개의 댓글
·

Project2 - Google Social Login

2프로젝트로 sound cloud 스트리밍 사이트를 클론 해서 만들어보게 되었고, 구글로그인 기능을 구현해보았다. 구글로그인에 앞서 일반로그인 과정을 짚고 넘어가자. 일반적인 로그인 >1. 유저가 브라우저에서 id와 password를 입력해서 front-end서버로 전달된다 front-end서버에서 id와 password가 back-end서버로 전달되고 아이디가 존재하고 비밀번호가 데이터베이스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토큰을 발행 해 준다. front-end에서는 발행받은 토큰을 세션스토리지에 저장시키고 request를 보낼 때 마다 header의 Authorization에 토큰을 실어서 보낸다. 구글 소셜 로그인 다른 소셜로그인과 마찬가지로 리소스 서버(resource server)인 구글의 api를 이용한다. 소셜로그인은 구글의 유저정보를 빌려서 사용한다. 유저가 입력한 정보가 구글에 있는 유저정보와 일치하면 내 서비스상의 토큰을 발행 해 주는 것

2020년 3월 10일
·
1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