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engine optimization

5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SSR & CSR 정리

CSR(Client Side Rendering) Client Side Rendering은 SPA로,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HTML을 반환한 후에, JS가 동작하면서 데이터만을 주고 받아서 클라이언트에서 렌더링을 진행하는 것이다. (SSR은 서버 내에서 렌더링을 모두 끝마치고, CSR은 브라우저 내에서 렌더링을 한다.) 점점 복잡해지는 웹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방식의 SSR보다는 CSR로 웹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동작 과정: HMTL 다운로드 -> JS 다운로드 -> JS 실행 -> DATA 서버로부터 받기 -> Content 확인 가능 Rendering 요청받은 내용을 우리가 보고 있는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SPA(Single Page Application) SPA는 최초 한 번 페이지 전체를 로딩한 이후부터는 필요한 데이터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웹 어플리캐이션이다. 즉 하나의 HTML 파일로만 동작

2022년 6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evLog TIL] 검색 엔진 최적화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220608 AIPM과정 D059 대구 AI 스쿨 시작한지 59일차 💻 Study Progress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is a process of improving positions in organic (non-paid) search results in search engines. The higher the website is, the more people see it. 검색 엔진 최적화 (SEO)는 구조상의 (무급)검색 결과 엔진의 위치 개선 과정이다. 높은곳에 웹사이트가 있을 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본다. Simply said, SEO is about running the right website for the right people. 간단히 말해서 SEO는 적합한 사람을 위한 적합한 웹사이트다. It isn’t only about a perfect structure or technical backgrou

2022년 6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검색엔진 최적화)

웹 사이트(혹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이유는 뭘까? 일반적으로 내 제품을 홍보하거나 웹 사이트의 서비스 자체가 비즈니스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내 제품, 웹 사이트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요즘에는 검색이 워낙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에 내 사이트가 상위에 노출이 된다면 많은 홍보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내 사이트가 상위에 노출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 때 SEO! 검색엔진 최적화가 필요하다. > # SEO(검색엔진 최적화)란? 검색엔진에서 더 찾기 쉽도록 사이트를 개선하는 프로세스 보통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검색엔진은 네이버, 구글, 다음 정도일 것이다. 여기서 네이버와 다음은 검색을 광고로 판매하고 있다. 때문에 우리는 Google 검색센터에 나와있는 내용을 기준으로 SEO를 공부해보려고 한다. Google 검색 작동 방식 Google은 '웹 크롤러'를 사용하는 자동화된 검색엔진으로 3단계로 작동한다.

2021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35: HTML - 2 / Semantic Tag

- 웹 문서 구성과 관련된 Semantic Tag >- 강조하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는 Semantic Tag HTML의 기본적인 역할은 웹 문서의 구조 형성입니다. 최근 추세는 거기에 더해 HTML Tag들을 좀더 유의미하고 짜임새 있게 구성하고,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하여 위와 같은 Tag들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위의 경우와 달리 아래의 태그는 단지 글자의 스타일만 변경하므로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2020년 9월 24일
·
0개의 댓글
·

검색 엔진 최적화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아래 포스트를 토대로 학습한 내용과 개인적인 견해를 담아 글을 작성하고자 한다. > http://www.bloter.net/archives/309882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프론트엔드 서버 개발 외에 SEO라는 핵심 과제가 추가적으로 있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용어인데 서비스 기업 측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구글, 네이버 등 외부 검색 엔진 상 콘텐츠 노출의 성패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SEO 전략 수립이 굉장히 탄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작업 대상에 따라 웹사이트를 최적화하는 테크니컬 SEO, 콘텐츠 자체를 최적화하는 콘텐츠 SEO로 크게 구분지을 수 있다. 테크니컬 SEO (Technical SEO)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술적인 요소가 기반이 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마케터 혼자가 아닌 개발자와의 협업이 요구되는 방식이다. 검색 엔진의 웹 크롤러가 자사의 웹페이지 및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기술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2020년 2월 2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