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hema
[ 230319 TIL ] schema vs DB vs Table
schema -> floor plandatabase -> housetable -> roo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개념과 relation, primary key(기본키), foreign key(외래키), constraints를 알아보자
movie set : 서로 다른 elements를 가지는 coolection relational의 수학적 의미 set A와 B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 둘이 가질 수 있는 경우의 수 조합은 A X B로 표기할 수 있는데 이를 Cartesian product라고 한다 tuple : 몇 개의 엘리먼트들로 이루어진 리스트 n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튜플은 n-t...
스키마(Schema)의 발전
앞선 예제에서와 같이 부호화된 레코드는 결국 부호화된 필드의 연결일 뿐임. 각 필드는 태그 숫자(예제 스키마의 숫자 1,2,3)로 식별하고 데이터 타입을 주석으로 달고, 필드 값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엔 단순히 부호화 레코드에서 생략하는 방식필드 태그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Database
전자적으로 (electronically) 저장되고 사용되는관련있는 (related) 데이터들의 조직화된 집합 (organized collection)사용자에게 DB 를 정의하고, 만들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DB 를 정의하다 보면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 TDL ] 2/20/23
https://medium.com/@hanilim/http-codes-as-valentines-day-comics-8c03c805faa0

SQL
SQL 분류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란?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이며,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등의 데이터의 전체의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 CREATE ALTER DROP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32일차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Schema & Query Design)
입력 받는 배열의 순서를 뒤집어 리턴하라.반복문 사용금지재귀로 풀 것

3층 스키마
사용자, 설계자,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관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기술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정의한 ANSI 표준이다.3층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데이터의 독립성 확보 시 장점데이터 복잡도 감소 데이터 중복 제거사용자 요구사항 변경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스키마 설계
Notification에는 3개의 레벨이 있다. Level 1. 가장 높은 단계의 알림으로 아래의 사진처럼 푸시알림이 뜨는 것이다. Level 2. 실시간 푸시 알림은 가지 않지만 앱의 뱃지에 표시되는 알림이다. Level 3. 가장 낮은 레벨의 알림으로 실시간 알
MongoDB 스키마 설계를 위한 6가지 법칙(정리중)
막연히 NoSQL이 좋다고 생각해서 MongoDB를 쓰다가 설계에 막혀 답답했던 적이 있다. 그래서 찾아보다가 발견한 mongodb 블로그에 있는 글을 토대로 MongoDB 설계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정리해보았다. MongoDB 설계시 고려할 6가지 항목 one
schema, instagram schema
링크 - https://velog.io/@seungsang00/Database-Instagram-%EC%8A%A4%ED%82%A4%EB%A7%88-%EB%94%94%EC%9E%90%EC%9D%B8

DB Schema / ERD
DB는 데이터베이스 이고, Schema는 DB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정의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이다.
All About CRUD - Model / Schema / Query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is an acronym which refers to the four basic operations a software appliaction should be able to perform - Create,
Day13
Module이란 모듈화를 통해 분리된 시스템의 기능들로, 서브루틴, 서브시스템, 함수, method등을 말한다 Module의 결합도 : 정보 은닉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명령이나 호출문 등 모듈의 내부 요소들의 서로 관련되어 있는 정도, 모듈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