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t
React-Native | 수정 로직으로 변경된 값이 화면에 바로 렌더링되지 않는 오류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를 하면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모달창에 input을 하고 그 데이터들은 update 로직을 거친다.모달창이 꺼진 후, 화면에 변경된 값들이 바로 최신화가 되기를 기대했으나,그러지 못했다.다른 스크린으로 이동 후 해당 스크린에 복귀해야 최신

모듈로 인한 커밋 에러 해결(husky, eslint, node 등..)
husky 디렉토리 안의 pre-commit 파일 때문인지 자꾸 커밋오류가 났다. Running tasks for staged files... eslint --fix 이런 에러였는데 스택오버플로우에 npm을 yarn으로 바꿔보라는 말이 있어서 바꾸고 yarn을 설치해
Git에서 특정 Commit 상태로 돌아가기
전부 초기화 코딩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차라리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게 낫다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그냥 무식하게 파일들을 전부 삭제해버린 다음에 git clone으로 원본을 다시 가져오는 방법도 가능은 하지만 다음 두 가지 명령어로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
git의 이해와 커맨드 정리
서로 다른 개발자들이 모여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다보면 깃이 꼬일 때가 분명 발생할 것입니다. 그 때를 대비해 깃 커맨드를 제대로 이해하고(애초에 안꼬이는게 최고이지만...) 문제를 해결 개발자로 성장해야겠습니다. 깃 영역 이해하기 Working Directory :

CSS reset
브라우저마다 초기 CSS 값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초기화 시켜 동일한 시작점에서 시작해 스타일을 지정하면 크로스 브라우징에 맞게 CSS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소록소록 Day 7_ save 이후 내부 data 삭제 안됨 > 해결
글쓰기에서 업로드를 완료하면 내부에 적힌 data 도 리셋되게하는 기능을 구현하려했다.

소록소록 Day 7_git 이미 push 한 내용 수정하기
git push 까지 완료한 상태로 github 들어가서 확인하는데메세지가 오타가 나 있었다... 그래서 구글링 시작.git push 한 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을 치면 흔히 나오는 방법이git rebase HEAD~1 -i 이 방법인데, 참고 : 이미 push한 comm

github commit 수정, 보관(amend, revert, reset, stash)
클릭하여 마지막 커밋 수정!강제 푸쉬 설정 후 push 할 때 강제푸시 체크!꼭 나혼자만 사용하는 branch 에만 사용해야한다!!다른사람이 commit 을 이미 pull 한 상태라면 작업이 모두 꼬여버려 큰일남절 대 주 의!!!!

[Git] Reset, Revert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commit을 뒤로 되돌려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해당 포스트에서는 commit을 뒤로 되돌리는 2가지 명령어 reset과 revert에 대해서 작성합니다.reset, revert 명령을 알기 전에 3개의 트리 용어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Wo
220923_학습일기_수정페이지 reset
회원정보 수정 페이지에서 기존에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사용했던 Tag의 reset Type을 사용했더니, 부분적으로만 리셋된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reset Type 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Form Tag내에서만 한정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알
Git & Github :: Reset & Revert
얄팍한 코딩사전을 참고하여 Git에서 버전을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reset 과 revert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Kafka의 offset reset
offset 은 long type으로 할당해서 사용한다. offset은 offset retention period 설정을 (default 7 days) 통해 주기적으로 0으로 초기화한다. 만약, Long.MAX_VALUE 범위를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 offse

git reset --hard 이전 커밋으로 변경하기
a.txt 파일을 만들었습니다.여기에 b를 추가하고,커밋합니다.c를 추가하고,커밋합니다.아 커밋으로 이동해 보겠습니다.먼저,commit 해시를 복사합니다.79ae443dfbb8820faf0c1c01c2dc602fc39cef76git log를 해 보면,실제 파일은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