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

Nodejs 이용 기초적인 simple API Server 구현
현대 웹 시스템 아키텍처 구조는 기본적으로 Client, API, Database 이렇게 3티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PI는 API의 역할을 하는 물리적인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서버 안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보통은 물리적인 서버를 가리킨다

HTTP, 그리고 Request & Response
HTTP에서 HyperText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HyperText와 그 의미가 동일하다. HTML은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태그로 구성된 언어란 뜻이다. 다시 말하면, HTML은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웹브라우

next의 사용법
😵💫Express에서 사용하는 미들웨어 함수미들웨어 함수는 요청 오브젝트(req), 응답 오브젝트 (res),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응답 주기 중 그 다음의 미들웨어 함수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갖는 함수. 그 다음의 미들웨어 함수는 일반적으로 next라는 이름
2022.06.01 - TIL [res, 썬더 클라이언트]
해당 코드를 선더클라이언트로 실행했을때 내가 생각한 실행되는 구조는 이랬다.router에 post를 사용하였고 경로는 /posting 이고, authMiddleware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const {nickName} = res.locals.user 로 작성하여서미리
req.send vs req.json
req.send로 json 데이터 전송시,req.send -> req.json -> req.sendreq.json 으로 json 데이터 전송시,req.json -> req.send
유튜브 클로닝 #2 Server: 컨트롤러
지난 포스트에서 express 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듣는 서버를 구축하였다.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GET, POST, PUT/PATCH, DELETE) 등을 듣고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역할을 한다.아직 서버만 만들었을 뿐, 서버에게 어떻게 요청을 받고 응답하

유튜브 클로닝 #2 Server : EA
앞선 포스트에서 설명했었듯, Express 는 Node.js 에서 서버 구축을 쉽게 해주는 프레임워크다. 그냥 서버 개발에 필요한 패키지 모음이라고 생각하기로 했다.https://expressjs.com/ko/4x/api.html위 사이트를 참조해보면,좌측에
axios 에러, res 객체 추출, 배열사용하자
axios 호출할 때 배열안의 오브젝트를 곧바로 호출결과 res로 데이터를 추출하면 나오는 에러이다이럴경우 배열로 데이터를 추출하자,
TIL | response를 반환할 때 사용하는 res.end(), res.send(), res.json() 의 차이점
Express 서버가 HTTP 요청을 받게되면, res를 반환하게 된다.res는 NodeJs만의 업그레이드된 response object이다.res.send() : send에 전해진 argument에 따라서 Content-type이 자동적으로 만들어진다.res.json
<응답을 하는 것들의 사소한 차이!!!>
Express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HTTP 요청을 받아서 res라고 불리는 응답 객체를 제공한다. 이 응답 객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이 가능하다. 다만, 그 응답이 다음과 같이 res.json(), res.send(), res.end()로 나눠진다. 이 셋은

[Web Server] 기초 # Express 2: 요청 객체와 응답객체(req & res)
: 익스프레스에서 사용하는 요청(req-Request) 객체와 응답(res-Response) 객체는 http 모듈에서 사용하는객체들과 같지만, 몇 가지 메소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익스프레스에서 요청 객체에 추가한 헤더와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속성(property

TIL
아무 생각 없이 매개변수를 지어 사용하니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코드를 제대로 작성했지만,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는 변수와 중복 사용 하거나 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고....시간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정말 조심하자....

웹 통신의 큰 흐름 1
이번 포스팅부터 웹 개발을 할 경우 일어나는 웹 통신의 큰 흐름을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google.com'을 chrome창에 입력할 경우 일어나는 일에 대해 설명해보라는 질문은 개발자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익숙한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