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plicaset

MongoDB Replica Set 설정
MongoDB 기본 세팅 전 글 MongoDB 기본 세팅 후 Replica setting을 할 때 참고하기 위한 글이다. OS: amazon-linux-2 Mongo Version: 4.2.24 참고 링크: Mongo Replication Replica set을

[kubernets] Pod / ReplicaSet 생성
metadata 는 key:value 형태로서 지정을 해주는 것으로서 해당 Pod에 대한 이름 즉, 라벨링을 해주는 작업이다.spec 속성에 내가 팟안에 넣어줄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들을 명시한다.이곳에서는 크게 nginx, redis 로 구성한다.기존에 존재하는 ser

Kubernetes Controller 1
K8S Controller Controller는 서비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기여를 한다. Auto Healing: Pod가 죽으면 Controller가 Pod를 다시 살리는 역활을 한다. Auto Scaling: Pod의 리소스가 다 차있는 상태가 되었을때 컨트롤러가
[Kubernetes] Controller 에 대해
Kubernetes 에는 Pod를 관리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주는 Resource가 있는데 그 중 Controller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Controller 는 크게 4가지 기능을 제공해준다.Auto Healing: Pod 에대한 helthcheck를 통해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ReplicaSet
Pod은 자동으로 복구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Replicaset은 Pod을 정해진 수만큼 복제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Pod이 죽어도 자동으로 복제를 해준다.)spec.replicas: 원하는 Pod의 개수 설정spec.selector: label 체크 조건(어떤 l

[k8s] replicaset
kubectl apply -f test-replicaset.yaml❯ kubectl get replicaset,podsNAME DESIRED CURRENT READY AGEreplicaset.apps/tes

Kubernetes for Absolute Beginners
쿠버네티스의 관리는 Yaml파일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래서 먼저 Yaml파일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다.져있다.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 배포법
기본 오브젝트 파드 쿠버네티스에서 실행되는 최소 단위, 즉 웹 서비스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단위. 독립적인 공간과 사용 가능한 IP 소유.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셋, 잡, 크론잡, 데몬셋, 스테이트풀셋 서비스 파드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신경 쓰지 않

K8S
ReadWriteOnce = 하나의 노드에서 해당 볼륨이 읽기-쓰기로 마운트 될 수 있다.ReadWriteOnce 접근 모드에서도 파드가 동일 노드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파드에서 볼륨에 접근할 수 있다.ReadOnlyMany = 볼륨이 다수의 노드에서 읽기 전용

Kubernetes 쿠버네티스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다.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 (desired state)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한다.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구글이 2014년에 쿠버네티스 프로젝

Kubernetes 리소스 ReplicaSet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해보기
- ReplicaSet가 무엇이고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이해한다. - ReplicaSet의 기본적인 생성 및 조회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 ReplicaSet의 변경 및 적용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Replication
Replication Controller는 Kubernetes의 Resource로 Pod이 항상 실행되도록 보장하는 Object이다. Pod에서 Crash가 발생하거나, 다른 이유로 삭제되면 Replication Controller에 정의된 대로 Pod을 새롭게 생성한

ft_services - Kubernetes Object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쉽고 빠르게 배포/확장하고 관리를 자동화 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2. 오브젝트 (Objects)
쿠버네티스에서 Pod를 그냥 띄우는 경우는 사실 거의 없다. 실제로는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통해 접속을 하면, 로드밸런서를 거쳐서, 노드포트를 거쳐서, 클러스터IP를 거쳐서, Pod로 연결된다. ➡️ 진정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