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m
CSS rem,em,vw/vh 기록
우선 rem, em 차이를 알아보자 1rem -> 'html의 font-size' x`1 ----> html의 font-size가 20px이면 1rem = 20px, 2rem = 40px 1em -> '해당 요소의 font-size' x 1 ----> fon

[html&css] 반응형 css 단위 - em, rem, vw, vh, %
절대단위(absolute unit) : css에서의 절대단위는 보통 px(픽셀), pt(포인트)를 많이 쓴다. 그렇지만 이 단위들은 화면의 크기가 변화해도 변하지 않기에 추천하지 않는다.상대단위(relative unit) : 브라우저를 기준으로 폰트 사이즈가 유연하게

픽셀 값을 변환하자!
프로젝트에서 웹 프론트뷰를 짜다보면 px값을 rem 단위로 변환하거나 뷰 포트 단위로 변환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때 유용한 페이지! (사실 내가 보려고 출간,,)px을 em / rem으로 변환px을 vw / vh 뷰포트 단위로 변환
web 기초/사이즈의 자동조절 팁
상대 단위로써 고정되지 않고 어떤 기준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는 길이의 단위%, vw, vh 등이 상대단위로써 기능화면크기의 변화에 따라 대응 가능font-size를 px로 설정하면 거기에 따라 em, rem의 크기는 비율로써 px로 변환

CSS font-size
!youtubeo0_Ot-TkqbU글꼴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주요 단위로는 px, em, rem이 있습니다.html 태그에 적용된 font-size의 영향을 받습니다. html 태그의 폰트 크기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습니다. 가장 바람직

CSS declarations
절대 길이 단위 (Absolute length units) 상대 길이 단위 (Relative length units)

개발할때는 어떤 단위를 어떻게 써야할까?
디자이너에게서 디자인을 받아서 실제로 구동되는 화면으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넓이와 높이, 여백, 폰트 사이즈 등 다양하게 단위를 지정하고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 이 때 개발자는 고민에 빠지게 될 것이다. 어떤 단위를 사용하지? 단위를 어떻게 지정해야 할까?하지

가변크기단위 / em, %, rem, vw, vh, vmin, vmax
px 같은 고정크기 단위가 아닌 주변의 font-size를 기준으로 변하는 단위가 있다!하나씩 알아보자.간혹 1em, 2em 보일 때가 있었다. 배수를 뜻하는 가변크기 단위다.⭐ 기준 : 부모의 글자크기출력(부모의 크기값 \* 자식의 em 값) = 자식이 가지게 될 크

CSS 프로퍼티 값의 단위
px은 픽셀(화소) 단위이다. 1px은 화소 1개 크기를 의미한다.픽셀은 디바이스 해상도(resolution)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를 갖는다.이와 같이 디바이스 별로 픽셀(화소)의 크기는 제각각이기 때문에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단위는 명확하지 않다.%는 백분률 단위의

CSS 크기 단위
CSS에서 사용하는 단위에는 absolute, relative 두가지 유형이 있다.절대 길이 단위는 고정되어 있다. 화면 크기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화면에서 사용하는 것보다는 인쇄 레이아웃에 사용된다.고정 길이 단위 종류로는 cm, mm, in(inches), px(

[CSS] 반응형 CSS 단위 em, rem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xWMKz9NCD0k 사용 용도를 나누는 기준 1. 부모 요소의 사이즈에 따르는가 ? 브라우저의 사이즈에 반응하는가? 부모 요소의 사이즈에 따르겠습니다: %, em 브라우저의 사이즈에 반응할래요: v(vw

[CSS] 반응형 CSS 단위 (EM, REM)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Learn/CSS/Buildingblocks/Valuesand_units https://www.youtube.com/watch?v=7Z3t1OWOpHo absoulte px: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