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State

10개의 포스트

prevState

PrevState 이력서작성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작성input마다 점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만들어야했다. 그런데 final이라는 state안에 input의 빈값여부를 true와 false로 받아오면서 객체로 저장을 해야했다. 하지만 초기 state에 값이 저장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1. 문제점 setstate는 비동기이다.setState의 인자로 state를 사용하게 된다면 이전의 갱신된 값이 아닌, 이전의 갱신되기 전의 값이 들어가기 때문에 값이 누적되지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이었다. 이전의 코드 이 코드의 문제점은 이전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 final의 값들만 복사를 하였기때문에 이전 값이 저장이 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전 상태가 저장되지 않고 값들을 복사만 하고 새로운 값으로 state가 갱신되는 것이었다. 2. 해결방법 문제를 해결한 코드 그래서 이전 값의 상태를 복사하기 위해 preState를 사용하였다.

2023년 9월 3일
·
0개의 댓글
·

setState에서 prevState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setState에서 prevState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setState 메서드에서 prevState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태 업데이트가 비동기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React는 상태 업데이트를 배치(batch)로 처리하고, 연속적인 setState 호출이 즉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 상태를 직접 참조하여 안전하게 상태를 업데이트하려면 prevState를 사용해야 합니다. setState의 사용 방식 setState 메서드는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객체 형태: setState({ key: value }) 2. 함수 형태: setState((prevState, props) => ({ key: value })) 두 번째 형태에서 setState 함수의 콜백 함수는 이전 상태(prevState)와 현재 속성(props)을 전달받습니다. 이전 상태를 직

2023년 6월 15일
·
0개의 댓글
·

prevState의 사용법

이전에 이야기 했던 setState의 작동원리에서 setState는 값을 모두 비교한 후에 최종 값을 함수가 종료되면 리렌더링을 진행하게 된다라고 했다 setState의 작동원리 참고 그러면 바로바로 값을 변경해서 사용해야 할때에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바로 prev를 사용하면 된다! 위와 같이 작성하게 되면은 임시저장공간에 있는 값을 prev로 가져와서 계산을 진행하게 된다 만약 임시저장공간에 값이 없다면 어떻게 되는가? 그러면 현재 count의 값을 prev로 가져오게 된다 이런 방법은 보통 값을 ture, false값을 즉시 변경하여 창을 화면에서 보이게 하거나 사라지게 할때 많이 쓰인다

2023년 1월 29일
·
0개의 댓글
·

[React] prevState

react에서는 setState로 상태 값을 여러번 변경해도 즉각적으로 state에 변경된 상태값을 적용시키지 않음 > prev -> 임시저장공간에 있는 값을 변경해주는 것 >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 기능만들기 -> 리펙토링 고민하기

2022년 12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act] State와 Prev...?

State와 Prev state란! 데이터를 담기 위한 상자와 같은 것인데, setState는 state를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 여기서 카운트올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setCount함수를 5번 실행했으니까 5씩 올라갈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카운트가 1씩만 증가하게 된다. 그 이유는 setState는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면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즉시 함수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동방식은 비동기적으로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의도대로 5씩 올라가게 하려면, prev라는 임시저장공간을 사용해서 작성해야 한다! 이렇게 prev를 사용하면 임시 저장공간에 있는 값을 먼저 꺼내오고, 만약 임시 저장공간에 있는 값이 없다면 기본 값을 불러오게 된다.

2022년 11월 20일
·
0개의 댓글
·

[React] prevState

State와 Prev 리액트에서는 setState로 상태 값을 여러번 변경해도 즉각적으로 state 에 변경된 상태값을 적용시키지 않는다. 때문에 이렇게 작성을 해도 count는 하나씩만 증가하게 된다. 의도한대로 count가 5개씩 증가되도록 하려면? prev라는 임시저장공간을 사용하여 작성해야한다! prev 임시저장공간에 있는 값을 변경해주는 것 좋은코드를 위해서는❗️ 기능만들기 리팩토링 고민하기

2022년 1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7.19_Modal/ React-Daum-Postcode/prevState

Modal 라이브러리 'ant design'에서 'Modal' 알림창을 띄울 때 아래의 return값을 갖는데 이 때 type="primary" 는 메인컬러이고 secondery는 서브컬러를 의미한다. 모달이 숨겨져 있는게 나올 뿐 여전히 데이타는 알맞게 들어온것이 맞다. prev 두번째 플러스 1 카운트부터는 먹히지 않는다. 계속 카운트가 1일뿐 prev는

2022년 7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y 12) 1. 알림창이 예뻐졌어요=> Modal 2. 주고, 우편번호를 검색해보자 => React-Daum-Postcode 3. setState에 이런 기능이??! => prevState

오늘 주제 1교시 포트폴리오 리뷰 유튜브 좋아요/싫어요 댓글(별) 유튜브 유튜브 스타일 주기 !! 이중 부정연산자 있으면

2022년 5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12) 셋째주 화요일

React 오늘 수업 내용 > 지난시간 포트폴리오 리뷰 1. youtube 삽입 1) BoardDetail 안에 youtube 링크 삽입하기 (기존의 다른 내용들 입력 했던 것 처럼 onChange 함수 생성해서 값이 변경되면 입력되도록 하기!) > 2) Board Detail FETCH_BOARD에서 youtube url 받아오는지 확인하기 3) 유튜브도 edit 페이지에서 default value로 보여주기 > youtube는 필수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검증 안 해도 될 것 같음 4) emotion은 import 해주고, ReactPlayer로 주면 됨 > 2. 게시물 작성자 수정 금지 > 로 하게되면 색이 변경되기 때문에 로 주면 값은 변경 불가능하고, 색은 똑같음

2022년 5월 24일
·
0개의 댓글
·

prevState

prevState 위처럼 카운트를 실행하는 함수가 있다 위 코드는 count+1을 4번했지만 1씩증가하게 된다. 위를 count+4가 되게하려면 prev 함수를 사용하여 작성시 +4를 시킬 수 있다.

2022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