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m

EC2, SSH로 연결이 안될 때? "Permission denied" 해결 방법
AWS를 활용해 EC2로 서비스를 열었다면, 축하한다 당신은 이제 자신만의 서버를 가지게 되었다.하지만 서버를 만들어서 기쁜 것도 잠시, 접속을 할 방법을 모르겠다면?흔히 Headless 서버를 제어할 때 SSH 연결을 통해 원격으로 이용하곤 한다.이 시리즈에서는 SS

[Nginx] SSL 적용 (With Chain 인증서)
이번에 회사 도메인의 SSL 인증서가 새로 발급되어 적용하려는데 다른 방식의 SSL을 구입하였는지 추가로 Chain 인증서가 함께 발급되었다.Nginx에 적용하는 방법을 찾으며 수집한 정보를 기록하는 겸 기존에 SSL 적용법까지 정리해보려 한다.Chain 인증서는 Ro
MAC에서 AWS EC2 접속하기
아래의 코드들에 대괄호는 이용자에 맞게 입력하시면 됩니다.대괄는 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pem파일의 권한 변경$ chmod 600 \[pem파일]EC2 접속$ ssh -i \[pem경로] ec2-user@\[인스턴스 퍼블릭 IPv4 또는 도메인]인스턴스의 이미지 종류에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파일 권한을 400 으로 변환 하여 해결 (sudo chmod 400 your_key.pem)
ssh key 등록 및 ec2 접속
ec2 대시보드 클릭좌측 메뉴 network & security하위 메뉴 중 key pairs 클릭우측 상단 create key pair 클릭.pem파일로 키를 생성한다.생성한 진 후 ssh 개인 key(pem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network & security
PEM 파일과 x509 그리고 jwk
openSSL을 통해 TLS 서버 인증서를 만들때 PEM 형식으로 된 인증서를 내보내 본 적이 있다. 그래서 PEM이 뭔지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데 JWT를 공부하면서 JWK 형태의 키를 사용하며 무척이나 혼란스러운 상황을 마주했다. 그 코드는
[AWS] 아마존 가상 서버에서 Jupyter Notebook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에본 게시물은 2018년, 처음 AWS를 공부하며 다른 블로그에 남겨두었던 내용을 재업로드하는 것입니다.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혹시 달라졌을지 모를 최신 버전을 함께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