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verlogin
소셜 로그인 - 네이버 로그인(2)
💡 지난 번 글에 이어 네이버 로그인에 필요한 코드에 대해 설명을 해보겠다 설정이 끝났다면, 카카오 소셜로그인과 마찬가지로 .env 파일에 설정들을 입력해준다! Callback URL Client Id 네이버로그인도 카카오로그인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파일을 만들어주었다. > NaverLogin.js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 필자는 백엔드와 소통을 하면서 코드에는 이상이 없는데 계속해서 실행이 되지않아 하루종일 헤맸던 기억이 있다. 위 코드에서 필자는 const STATE = "false"로 설정했었는데, 백엔드 측에서는 이것을 "project"로 설정했던것이었다! > 🙏 결국 단어 한 개의 차이로 인해 하루의 시간을 낭비해버렸는데, 이 글을 읽게되는 독자들은 헤매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설명을 남긴다. 또한, 필자는 REDIRECT_URI를 깜빡하고 바로 썼는데 독자들은 **process.env.REACTAPP

소셜 로그인 - 네이버 로그인(1)
💡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소셜로그인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우선,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 접속한다. 접속 후, 헤더의 "Application"에 위 사진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등록" 이 보이는데 클릭한다. >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등록하고, "선택하세요" 항목에서 "네이버 로그인"을 선택한다. 이후, 원하는 제공 정보를 선택 후 환경 추가를 해준다. 
[네아로] 네이버 소셜로그인 Spring MVC로 DB까지 : POST 방식으로 연결하기
까다롭기로 유명한 네이버 소셜로그인.... 나도 그냥 똑딱 버튼 누르면 로그인이 되는건줄 알았지.. (먼산)🌄 Spring Boot가 아닌 Spring Framework + MVC + MySQL 조합으로 소셜로그인 진행하는 방법과 쉽게 헷갈릴 수 있는 부분도 짚어드릴게요. 1. 네이버 디벨로퍼 사이트에서 API 설정하기 이것은 간단하쥬? 네이버 로그인 애플리케이션 등록 주의할 점은 콜백 주소까지 다 넣어주어야 한답니다. 오타가 나거나 하면 나중에 연결했을 때 404 에러나 흰 화면으로 멈춰버려요. <img src="htt

[Flutter] Firebase Dynamic Links 사용해 보기
Firebase Dynamic Links 사용해 보기 Firebase Dynamic Links Documentation URL Scheme / Deeplink 설정 및 작동 방식 이해하기 firebase_core | Flutter Package firebasedynamiclinks | Flutter Package uni_links | Flutter Package [http | Da

[Flutter] 네이버 로그인 - Social / Naver
네이버 로그인 카카오 로그인 구글 로그인 - Firebase 없이 GCP로 로그인하기 네이버 로그인 이슈 네이버 로그인 이슈 - Android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로그인에 대해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네이버 로그인은 flutter에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SDK를 제공하고 있어서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Naver Developer 네이버 개발자 센터를 방문하여 로그인을 진행한다. 상단 탭에 Applicatio
[Flutter] 네이버 로그인 이슈(Android)
네이버 로그인 이슈 (Android) 네이버 로그인 이슈 (IOS) 이번에는 네이버 로그인을 도입하게 되면서 발생한 이슈에 대하여 작성하도록 하겠다. 소셜 로그인이나 라이브러리 등을 사용하면서 각 빌드 구성표에 설정 파일도 많아지고 OS 버전, kotlin 버전, flutter 버전 등이 계속 변경되면서 어느 순간엔 돌이킬 수 없는 난잡한 구성표가 되어있다. IOS/Swift는 자주 에러도 발생시키고 하다보니 귀찮아도 계속해서 설정 관련된 것들을 정리하면서 개발을 하는데, 안드로이드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이상은 잘 안보게 된다. 이전에 네이버 로그인 개발을 한 적이 있어서 쉽게 끝날 줄 알았는데, 처음 부터 MainActiviy() 변경 안해줘서 딜레이 좀 됬다가 바로 개발 끝내고 apk 빌드해서 release 버전도 체크했을 때까지는 그래도 순조롭게 개발을 끝냈었다.

[Android/안드로이드] 네아로 SDK 5.1.1 버전 적용후 release 빌드시 로그인 안됨 (난독화/Proguard 설정)
💌 [Android/안드로이드] 네아로 SDK 5.1.1 버전 적용후 release 빌드시 로그인 안됨 (난독화/Proguard 설정) 안드로이드 12 (targetSdkVersion 32) 을 타겟으로 변경 하면서 그에 맞게 외부 라이브러리도 대응을 해주었다. 동작 변경사항: Android 12를 타겟팅하는 앱 링크 📌 이슈 네이버 로그인 SDK 버전도 기존 4.2.6 에서 5.1.1 로 리팩토링 해주던 중 디버그 모드에서는 잘 작동되는데 릴리즈 버전에서는 onFailure 로 떨어졌다. 로그를 찍어 확인해도 getState() 도 OK httpStat

xcode에서 사용할 shell script 작성하기 3/3
이제 shell script 코딩을 좀 해볼까~! 나의 기본 전략은 이렇다. sns로그인에 사용할 plist의 키를 임시의 snsinfo.plist를 만들어 놓는다. 1에서 만든 키를 과감하게 info.plist에서 삭제한다. snsinfo.plist를 info.plist에 merge 한다. plistbuddy에는 add 가 있는데... 얘는 키가 있으면 추가를 안한다. array에서는 동일한 키가 있어도 추가를 한다.(뭐 map이 아니니까 이건 당연하겠는데...) 그리고 Set이 있는데... 얘는 기존 값을 업데이트를 해준다. 키가 없으면??? 그냥 아무것도 안한다. > 즉, 키가 있으면 Set을 쓰고 없으면 add를 쓰면 합리적일 것 같았는데.. 이렇게 하려면 키가 있는지 없는지 체크해야된다. 그래서 그냥 delete로 삭제하고 머지해서 업데이트의 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괴랄한 shell script 문법!! if문의 시작은 대괄
xcode에서 사용할 shell script 작성하기 2/3
타겟별 customizing data source 구분하기 > 목표: 타겟별로 구분지을 수 있는 파일을 만들고 거기에서 값을 읽어와서 info.plist를 수정. 사실, 쉘 스크립트? 뭐 그거 별거있겠어 하고 만만하게 보고 덤볐는데... 생각만큼 잘 되지 않았다. 실제로 xcode의 Build Phases에 Run Script에서 실행해서 그런지.. 인터넷에 나온 예제대로 했는데 안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 미친 구성! 오늘만 이가격~!! 프로젝트 하나에 타겟 100개를 드립니다. 우리 프로젝트는 현재, 하나의 프로젝트에 타겟이 100개 이상 된다. 미쳤다고? 그게 가능하냐고? 거짓말 아니냐고? 처음에는 사이트 별로 프로젝트가 따로 나뉘어져 있어서 view 하나 수정하면 프로젝트 n개를 열어서 수정해야 했는데 통합해서 그나마 쉬워진거고.. > "저도 이렇게 될 줄 몰랐어요." dev, stage, release > 사이트 당 3개의 타겟..
xcode에서 사용할 shell script 작성하기 1/1
우리 회사에서는 기능이 유사한 앱을 찍어내는 중인데.. 오늘도 인간 jenkins로 열심히 배포를 위해 타겟을 늘리고 프로젝트를 셋팅중이다. 그동안 상당히 귀찮았던게.. 카카오톡 로그인키를 info.plist에 넣어줘야하는데 타겟을 복사하고, 폴더를 복사해서 수정해서 쓰다보니, 수정이 안되거나 하는 이유로 틀리게 적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한마디로 휴먼 에러를 줄여보겠다는 것! 애초에 info.plist의 수정없이 클래스나 구조체 변수로 런타임시에 사용하도록 만들어줬으면 좋았을텐데, 아무튼! 이걸 빌드시에 자동으로 info.plist에 넣을 수 있게 하면 되겠다!!!! 🐶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의 순서로 구현한다. shell script를 작성한다. shell script에는 plist를 수정할 수 있는 코드가 들어 있다. plist 파일 수정은 plistbudd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빌드시 shell script를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