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unt
React | 리액트의 LifeCycle (생애주기) 👶🏻👩🏻👵🏻
인간의 life cycle이 있듯, 모든 순리는 모든 곳에 적용되나니 ...리액트도 자기만의 패턴, cycle이 있다.이에 대해 '간단히' 블로깅해본다.탄생 -> 변화 -> 죽음리액트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로, 하나의 페이지를 사용한다.
sshfs로 원격 파일 시스템 mount 하기
AWS VPC를 이전하면서 운영1번 서버와 운영2번 서버가 mount 되어 있었는데서버 재기동을 하면서 umount가 되었다.기존에는 NFS로 공유가 되어 있었는데 좀 더 보안적인 향상을 위해 sshfs를 이용하여 mount 하기로 함!운영2번 서버에서 운영 1번 서버

[Docker] Volume & Mount (볼륨/마운트) feat. JupyterLab
Docker 의 Volume 과 Mount 그리고 바인드 마운트에대해서 알아보자. Jupyter Lab 설치는 덤이다
setState mounted 검사
플러터에서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 setState를 사용한다.거의 문제 없이 실행이 되지만 위젯이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 setState 함수를 호출해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setState시 무조건 mounted 검사를 해준다.

[React] Life Cycle
앱 개발을 하면서 렌더링 되기 직전 이나 새로 변경된 후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면 life cycle 은 확실히 잡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React 의 component Life Cycle 은 크게 3단계로 분류가 가능하다.Mount → Update → un
[React] LifeCycle Component
모든 리액트 컴포넌트에 라이프사이클 컴포넌트의 수명은 페이지에 렌더링되기 전인 준비과정에서 시작하여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난다. 리액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컴포넌트를 처음으로 렌더링 할 때, 어떤 작업을 처리해야 하거나 컴포넌트를 업데이트하기 전 후로 어떤 작업을

리눅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작업예약 at 예약한 명령을 정해진 시간에실행 atq 현재 사용자의 등록된 작업 목록 출력 atrm 지정된 작업 번호 작업을 삭제 crontab(스케줄링 배치) 정해진 시간에 반복 실행 crond (daemon process)에 의해 crontab 파일 내용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정해진 작업 수행 crontab 파일
개념 - Lifecycle, useEffect (Mount, Unmount)
출처: 인프런 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리액트에서 Lifecycle이란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탄생 -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나는 순간이다. 리액트에서 Mount라고 부른다변화 - State가 바뀌거나, 부모가 리렌더 되거나, Prob이 바뀌어 컴포넌트 자신이 리

[Linux] 외장하드 Can't Read Superblock 에러
집에서 운영하는 서버에서 Can't Read Superblock 에러가 발생했다: dmesg 로 찍어보니 뭔가 엄청난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달 넘게 켜놓기만 했더니 외장 하드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았다. 파일 시스템 관련된 문제는

Nginx LB로 구축하기
LB에 대한 내용은 노션에 잘 정리해놓았다. 옆팀에서 급하게 LB 라운드로빈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여 가장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는 방법으로 nginx를 사용하기로 했다.docker환경으로 구성하면 더 깔끔할 것 같다.(다하고 나서 느낀거지만 로컬에 볼륨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useEffect의 cleanup 함수로 mount & unmount 확인
mount 시 'mount effect' 호출 및 name 변수가 생성되므로 'effect'도 호출name 값 변경 시 'cleanup'을 출력 & 직전 name 값 출력unmount 시 'unmount cleanup' 호출 및 name 변수 사라지므로 'cleanup
React 마운트 VS 랜더링
마운트 VS 랜더링 react는 mounting, unmounting, updating 3가지를 사용한다 mounting은 React node를 DOM에 더하는 것이다 unmounting은 React node가 DOM에서 제거되는 것이다 updating은 이미 DOM에 추가된 React node의 data가 바뀌는 것이다 React node가 어떻게 D...

[React] React life cycle
React life cycle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Mount: DOM 객체가 생성되고 웹 브라우저 상에서 나타나는 것Update: props 또는 state의 변경, 부모 컴포넌트의 리렌더링, 강제 렌더링(forceUpdate)Unmount: DOM 객체가
.png)
Mount, unMount
react에서 key값이 변하는경우, 조건부렌더링의 경우 컴포넌트는 Mount, umMount과정을 거친다.mount시에 새로 엘리먼트를 그리기 떄문에 개발자툴에서 해당 엘리먼트를 찍어보면 div가 펼쳐졌다가 감춰졌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