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miter

1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Redis를 사용해 요청 횟수를 제한해 보자

배경)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짧은 시간에 A기능만 과도한 요청 -> A 기능에 사용되는 DB에 많은 부하 발생 -> 이로 인해 A 기능 성능 저하 -> 특정 클라이언트의 과도한 요청으로 A 기능을 요청한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지연 발생 내용) "과도한 요청" -> "Caching"을 생각했다면 아직은 섣부른 판단입니다. 해당 요청이 어떤 타입의 요청 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그럼, "조회에 관련된 과도한 요청" -> "Caching" 이건 어떨까요? 이것도, 현재 조건만으론 아직 Caching으로 해결이라 판단하긴 이릅니다. Caching에 관련된 이야기는 현재 포스팅과 벗어나는 주제이므로 자세한 이야기는 다른 포스팅에서 하겠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해결할까요? 부하가 발생한 지점이 DB 이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선 요청을 다 받아 처리하는것 보다 요청을 제한(Rate Limiting)하는 방법이 최선책입니다. 또는 처리할 수 있는 만큼까

2023년 3월 12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