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yered architecture

Layered Architecture & @Component, 게시판 insert 예제
효율적인 개발과 유지보수를 위해 Application을 계층화해서 개발대규모의 중/대규모 Application에서 적용한다각 레이어는 독립된 R&R을 가진다Layered Architecture는 인접한 레이어로만 통신이 가능하고 대표적으로 OSI 7 레이어가 있다Lay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가장 흔한 아키텍처 스타일. 단순하고 대중적이면서 비용도 적게 들어 사실상 표준 아키텍처이다. 레이어 분리 내부 컴포넌트는 논리적으로 수평한 레이어들로 구성된다. 각 레이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레젠테이션 로직, 비즈니스 로직 등의 주어진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Spring] DTO의 사용 범위에 대하여
이 글은 Dto를 사용하면서 어떻게 해야 잘 사용할 수 있지? Domain으로는 언제 변환하는 것이 맞지? Dto를 내가 잘 사용하고 있나? 등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글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져온 글의 출처는 아래에 있습니다.DTO는 계층간 데이

[Spring] DTO의 사용 범위에 대하여
이 글은 Dto를 사용하면서 어떻게 해야 잘 사용할 수 있지? Domain으로는 언제 변환하는 것이 맞지? Dto를 내가 잘 사용하고 있나? 등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글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져온 글의 출처는 아래에 있습니다.DTO는 계층간 데이
Docker Images
만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가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경우에는 직접 이미지를 만들어야할 것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python flask를 이용한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우리는 어떤 것을 컨테이화하고 이미지를 통해서 어떤
Spring Security를 이용한 로그인2
Directory 구조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Member DTO 클래스email 정보와 일치하는 한 건의 회원 정보를 읽어들인다.회원 정보를 읽어들이는 MemberDao 클래스회원의 권한(Role)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MemberRole DTO 클래스email에 해당하는
Spring Security를 이용한 로그인
Directory 구조아이디와 암호를 전달받아 로그인을 처리하는 것은 AuthenticationFilter이다. AuthenticationFilter는 아이디에 해당하는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해 UserDetailsService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빈(Bean)을 사용
Spring MVC에서 Session을 이용한 상태유지
@SessionAttributes 파라미터로 지정된 이름과 같은 이름이 @ModelAttribute에 지정되어 있을 경우 메소드가 반환되는 값은 세션에 저장된다.아래의 예제는 세션에 값을 초기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SessionAttributes의 파라미터와 같은
Session을 이용한 상태정보 유지하기
/guess로 요청을 하면 컴퓨터가 1부터 100 사이의 임의의 값 중의 하나를 맞춰보라는 메시지가 출력합니다.해당 값은 세션에 저장합니다.사용자는 1부터 100 사이의 값을 입력합니다.입력한 값이 세션 값보다 작으면, 입력한 값이 작다고 출력합니다.입력한 값이 세션

Cookie를 이용한 상태정보 유지하기-1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실습5에서 이어짐쿠키를 브라우저별로 따로 관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실습4
GuestbookService.javaGuestbookServiceImpl.javaGuestbookServiceTest.java테스트 파일을 만들어 입력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해 보자. (Run Java Application)guestbook 테이블의 id가 3인 것은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실습3
가장 이상적인건 JUnit 등으로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지만, 일단 GuestbookDaoTest.java를 만들어서 Java Application으로 실행시켜 DB 저장이 잘 되는지 확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