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st

3개의 포스트

블로그 옮기기

블로그를 옮길 예정이다. 취직을 했고 취직 이후 얻은 정보는 notion을 통해서 정리하는 게 훨씬 간편하고 찾아보기도 쉽다. 굳이 블로그 정리하느라 긴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일을 하다보면 조금 더 가치있는 글을 쓰고 싶을텐데 (트러블 슈팅, 프로젝트 후기와 같은 글) 그 때는 깃허브에 블로깅을 해볼까한다. 포스팅 수는 적더라도 양질의 글만 남기는 편이 낫지 않나 싶다. https://junsu930.github.io/ 새로운 블로그 주소

2023년 8월 5일
·
0개의 댓글
·

0724

Additional Selectors eq() eq()는 선택자 중 동일한 태그 중 하나를 특정 first(), last() first는 eq(0), last는 eq(마지막 인덱스 번호)와 같음 lt(), gt() gt(i)는 i보다 큰 인덱스 전체 선택, lt(i)는 i보다 작은 인덱스 전체 선택 next(), prev() next()와 prev()는 해당 태그 뒤와 앞의 태그 선택 append()는 선택된 태그 안에 추가하는 함수이므로 next() 혹은 prev()로 선택 불가 find() find()는 대상 태그의 하위 태그로 한정된 범위에서 태그를 선택하여 추출 Inserting within HTML html() : 자바스크립트의 innerHTML()에 해당 text() : 자바스크립트의 innerText()에 해당 append() : 안에 추가 after

2023년 7월 24일
·
4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ront-end 국비지원 #032일

JavaScript 1. function- input output > function name(parameter1,parameter2,... ){실행문(코드)} =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코드 블록 ex)01 *밖으로 printHello(); 함수를 불러와야 실행이 된다. > 결과 값 : Hello ex)02 *파라미터로 메세지를 전달하면 전달된 메세지가 나옴 > 첫번째 결과 값 : hi sehyeon 두번째 결과 값 : hi joo 2. parameters 파라미터(매개변수) 함수를 정의할 때 나열된 변수를 뜻하며, 함수를 호출 할 때 input되는 데이터를 가르키기 위해 사용된다. 매개변수(parameter, 파라미터)는 변수의 특별한 한 종류로서 함수 등에 input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매개변수는 하나의 속성값을 받을 수도 있고, object를 받을 수도 있다. 매개변수의 기본값도 미리 설정해 매개변

2022년 11월 29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