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ubeadm

쿠버네티스 전문가 양성과정 12주차 5일(3/10)
CKA Kubeadm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쿠버네티스의 기본적인 설치 도구 일반적으로는 Kubespray를 사용하지만 CKA만큼은 Kubeadm을 설치할 줄 알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Kubeadm 설치 Kubeadm 설치 github
[Kubernetes] TS: no default routes found, cannot use "0.0.0.0"
현재 route 상태 확인 대부분이 default route 가 없는 상태에서 발생 혹은 NI(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인 환경에서 발생 default route 추가혹은 kubeadm 에서 ip 를 지정해서 실행

Bootstrapping clusters with kubeadm
시작하기 전에 컨트롤 노드에는 최소 2 cpu, 1.5GB ram, 워커 노드에는 최소 0.5 cpu, 700MB 램을 권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호환되는 리눅스 머신이여야 되고 모든 노드에 대해 고유한 호스트 이름, MAC 주소 및 product_uuid를 가져야한
kubeadm으로 클러스터 환경 구축해보기
참고자료 https://linuxhint.com/installingvirtualbox_ubuntu/ https://www.youtube.com/watch?v=2-ebS1NuTW8

kubernetes에서 Custom sandbox 이미지를 사용하고 싶을때
kubernetes에서 custom sandbox 이미지 사용을 위해 삽질했던 이야기
kubernetes 설치(on ubuntu)
ubuntu 20.4 위에 kubernetes 설치, 클러스터 생성, 네트워크플러그인 설치(cilium), 컨테이너 배포

Kubernetes 클러스터 설치 (kubeadm, offline 환경)
폐쇠망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 구성해야하는 작업이 생겨서 이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위한 과정을 기록합니다. 이를 위해 EC2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폐쇠망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아웃바운드 정책으로 80, 443를 제외하였습니다. 전체적
kubeadm으로 K8S cluster 구축하기(feat. CRI-O, kubeadm-config)
kubeadm을 이용하여 crio runtime을 기반으로 k8s cluster를 구축한다. cri-o: v1.19kubeadm: v1.19.4kubectl: v1.19.4kubelet: v1.19.4master1: 192.168.9.237worker1: 192.168
쿠버네티스 설치 및 대시보드(HA) 구성
k8s 테스트 베드 구성을 위한 매뉴얼 1. 호스트네임 설정으로 각 노드 구분하기 2. /etc/hosts 설정하기 3. 보안 및 시스템 설정 (전체 노드) selinux 끄기 k8s sysctl 설정 시스템 설정 적용 스왑 비활성화 스왑 파티션 삭제
kubeadm 으로 쿠버네티스 설치(On-premise)
쿠버네티스 초기 설치 및 설정 내용 정리 쿠버네티스를 셋팅하고 운영하기 위한 환경은 1.온프레미스 인프라 직접 설치 운영 2.클라우스 인스턴스내 설치 운영 3.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매니지드 쿠버네티스 이용 등의 방법이 있으며 본 블로그에서는 1번 온프레미스 GPU서버에

(시리즈1) Linux 환경에서 KVM 이용해서 가상머신 환경 만들고, kubeadm 이용해서 가상머신 간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하기 (2) - kubeadm을 이용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
앞 글에서 만든 가상 노드들을 가지고 kubeadm을 이용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을 해 보았습니다.

Kubeadm으로 K8S 구성
K8S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해주는 도구이다. 클러스터를 빨리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구성환경: Vagrant로 CentOS 이미지 사용 \*쿠버네티스 공식 Docs를 보고 설치를 하였다.네트워크 어댑터가 두 개 이상 (Public, Private)사용을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