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tp

3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TIL 2022-09-05

문자열과 숫자가 합쳐지면 문자열이 된다. =>'ABC'+1='ABC1' 변수선언을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let이다. ex. let num1=5; num1 = 5; 이런 식으로 사용이 된다. const는 상수를 뜻한다. 한 번 선언되면 다시 고칠 수가 없다. 하지만 변수는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https:

2022년 9월 5일
·
0개의 댓글
·

prestudy-week2

study keyword 1.배열이 필요한 이유와 선언하는 방법 *when we want to store list of elements and access them by a single variable. *storing a collection of multiple items under a single variable name 하나의 배열내에 여러 자료형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하나의 변수에 여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지고, 변수의 수를 줄여주고, 연산에 편리하다. 관련성 있는 데이터를 함께 변수에 저장하므로 데이터를 찾는데 용이하다. 배열의 선언 [대괄호]를 사용한 리터럴 방식 let myArray = [12,25,'christmas']; **리터럴 방식으로 배열값들을 변수 선언과 동시에 함꼐 선언하여 사용하는 방법 let myArray = newArray[12,25,'christmas']; ** 2.배열의 값을 추가

2022년 4월 22일
·
0개의 댓글
·

[JS] tilde(~)과 double tilde(~~)연산자

leetcode를 풀면서 연산자를 사용한 풀이를 보고 되게 유용한 연산자라고 생각돼 간략하게 정리해보려한다. double tilde연산자를 이해하기 위해 tilde연산자를 알아보고나서 double tilde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볼 계획이다. tilde(~) 연산자 tilde 연산자는 비트연산자로 NOT의 기능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와 같이 2진수일 때 0과 1만 뒤바꾸면 된다. 하지만 저것을 콘솔에 실행시켜 보면 expected output마냥 -6,2만 나오게 된다. 이를 이진수로 직접 눈으로 확인 하는 법은 없을까? toString를 이용해 간단하게 2진수로 변환하기 toString메소드를 활용하면 10진수를 간단하게 2진수로 변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했을 때 한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래의 코드가 어떻게 실행되는지 예상해보자.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 이렇게 1000의 보수가 나와야 할것만 같

2021년 2월 16일
·
2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