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ok
Hook & Context
reactjs hook 공식내용 : https://reactjs.org/docs/hooks-intro.htmlex) Example2 컴포넌트 -> state에 객체가아닌 변수값을 사용했을 경우ex) Example3 컴포넌트 -> state를 셋팅 시 객체를

React Hook은 useState밖에 몰라서요...;; 그래서 정리해봄.
useEffect는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클래스형 컴포넌트의 componentDidMount와 componentDidUpdate를 합친 형태기본적으로 첫 번째 파라미터(함수)가 렌더링된 직후 실행마운트될 때만
Prevent React component state from updating when unmounted 갱신 막기
참고: Prevent "React state update on unmounted component" warning when setting state on async callbackAsk Question

React Lifecycle와 useEffect()
Image Link : https://projects.wojtekmaj.pl/react-lifecycle-methods-diagram/모든 컴포넌트는 여러 종류의 '생명주기 메서드'를 가지며, 이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여 특정 시점에 코드가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React] -useState
Hook 이란 무엇인가?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React State의 생명주기 기능을 연동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

[Hook 시리즈] Lazy initialization 이 대체 뭔데 그래서
게으른 것도 때론 쿨하고 좋을 때가 있지! 그게 바로 Lazy initialization
[TIL] 0615~0616
의문점 js가 왜 함수형 언어인지? 리액트는 함수형? 객체지향? -> 객체지향에서 함수형으로 바뀌는 추세인 듯? 리액트의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조합하는 방식이 객체지향인건지? -> 아예 다른 개념인 것 같다. 작은 부분들로 조합해서 큰 것을 만드는 것은 그냥 복잡한

[React] State, Effect Hook 활용하기 (2) Rest API fetch (StateAirline Client 과제)
part 2

React 클라이언트 Ajax 요청
react의 데이터 흐름, state 끌어올리기, Effect Hook, useEffect, 순수함수, side effect, 로딩화면, Ajax 요청

⚛︎React Hook Form
: React Hook Form 라이브러리: 유효성 검증시에도 유용함.(vaildation)npm i react-hook-formex) <input {...register("toDo")} /> : register가 반환하는 객체를 input의 props로 전달함

React | UseRef
리액트를 사용하기 전까지 우리는 특정 태그에 접근할 때 document.getElementById() 를 사용했다.하지만, 리액트는 실제 DOM이 아닌 virtual DOM(가상돔)을 다루기 때문에 document.getElementById()으로 접근했을 때 문제가

[React] useEffect
by Meds Safety https://medssafety.com/side-effects-vs-adverse-effects-vs-contraindications/the hook that manages side-effects in functional React
useState 만들어보기
처음 react hook을 사용했을 때부터, useState, useEffect와 같은 hook들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 지 매우 궁금했다.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그저 마법처럼 느껴진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사실, 이번 말고도 이전에 hook을 바닐라 js로 만드려
useMemo, useRef, useCallback
useMemo > ### Memoization 비용이 많이 드는 함수 호출의 결과를 저장하고, 동일한 입력이 다시 발생했을 때 캐시된 결과를 반환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속도를 높여주는 최적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React의 컴포넌트 함수는 렌더링이 일어날 때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