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sOwnProperty
[TIL] hasOwnProperty vs in 연산자
어떤 객체의 property를 확인하는 메소드로는 hasOwnProperty와 in 연산자가 있다. 둘다 객체의 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후 boolean을 리턴한다그렇다면 차이는 없을까.
[JavaScript] for-in문
for (const 반복될변수 in 배열||객체) {}for-of는 객체일때 에러남안전한 코드를 위하여test가 값(혹은 변수)를 가지고 있는지. 가지고 있으면 true. 아니면 false.왜 사용할까? 상속되거나 확장된 객체의 속성은 반환하지 말라고. 해당 객체가 스

[JS] Prototype
프로토타입의 정적 프로퍼티, 정적 메소드 ,Object.create ,직접 상속 ,프로퍼티 섀도잉 ,프로토타입 체인 등을 다룬다.
.png)
프로퍼티 존재확인/열거 메서드
객체에 특정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in 연산자는 객체가 상속받은 모든 프로토타입의 프로퍼티를 확인한다.객체에 특정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hasOwnProperty 메서드는 상속받은 프로토타입의 프로퍼티를 확인하지 않는다.for..
[Javascript] 객체의 key 존재 여부 확인 - in vs hasOwnProperty
in: 해당 객체의 prototype chain까지 포함한 모든 객체 키를 조회한다.hasOwnProperty: 해당 객체가 해당 키를 직접적으로 가질 때만 true를 반환한다.별다른 이유가 없다면 hasOwnProperty를 사용하자!해당 객체의 hasOwnPrope
객체 프로토타입, 객체 순회와 관련한 몇 가지 메소드 회고
객체와 관련되어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은 메소드 세가지를 정리하고자 한다. Object.create() 예전에 다루었듯이 생성자 함수의 인스턴스 객체가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속성(객체)을 상속받는 방법으로 new 키워드를 통한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