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Introduction to Git and GitHub - 모듈 2 & 3
git commit -a → stage 과정을 생략한다.no dress rehearsalsclarifyaliasday 3배운 내용 git log -pgit show git log —statgit diff : unstaged의 변화만을 보여준다.git rm : 파일 지

git fetch로 가져온 뒤 로컬과 원격 커밋 기록 한번에 보는 명령
git log --all --oneline --graph\--all을 붙여야 로컬과 원격 커밋 기록 한번에 볼 수 있다.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0678495/where-to-find-changes-due-to-git-
git 기초 -2
원격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local < 내컴원격 -> 인터넷어딘가만들어진 버전을 되돌리는 두가지 방법revertreset:버전을 완전히 돌리기하나의 버전이 만들어지는 과정1) 작업 디렉터리에서 변경 사항 생성하기hard reset 1,2,3삭제2) 스테이지로 추가
[Git] -3장
3.깃과 브랜치 1) 브랜치(branch):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나무가 가지에서 새 줄기를 뻗듯이 여러갈래로 퍼지는 데이터흐름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 브랜치가 필요한 이유: 수정한 내용이 의도치 않게 바뀌거나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main(mas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Git rebase 안될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있는 Git 툴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rebase가 안되는 상황이 발생했다.git fetch를 받은 후 master update 후 rebase를 할려고 오른쪽 버튼을 눌렀는데 rebase 탭이 비활성화되어 있었다.도저히 해결방법이 생각이 안

Git Issue 템플릿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발생하는 모든 이슈(버그, 기능 개발 등)입니다. 이슈로 누군가를 멘션하며 회의도 가능하고 질문도 가능합니다.프로젝트의 settings -> Set up templates 클릭원하는 템플릿 선택연필 모양을 눌러 수정한다.완성된 템플릿저장소의 Issu
git의 기초 명령어
깃은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작업물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때 '커밋'을 통해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깃의 효용 1\. 변경된 내역을 확인 할 수 있음 2\. 히스토리 복구를 통해 백업이 가능 3\. 여러 작업자들과 협력을 용이하게 함

CRLF, LF
CRLF/LF는 OS에 따라 다른 개행 방식이다. 리눅스와 맥같은 Unix-like System은 LF 방식을 사용하고, 윈도우는 CR/LF 방식을 사용lf 방식을 사용하기로 함gitattributes 파일을 생성해서 lf 방식으로 변경위와 같이 설정해두면 CRLF로
merge할 때 conflict해결 방법
컨플릭트가 발생한 파일을 연다.Conflict가 발생한 빨간 박스 부분을 다 삭제하고머지의 결과가 되었으면 하는 모습대로 코드를 수정커밋머지를 시도하기 이전 모습으로 돌아옴.
알잘딱깔센GitHub - reset
알잘딱깔센GitHub - resetgit reset \[mode]혼자 쓰는 브랜치에서만 사용하시고, 여러 명이 사용하는 브랜치에서는 사용하면 안된다. hard : 지정한 커밋 이력 이후 변경사항을 다 버리고 지정한 커밋으로 리셋mixed : 지정한 커밋 이력 이후 변경

[Git] git이 관리하는 세 개의 공간 - Working Directory, Stage, Repository
깃은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버전 = 변경사항 =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나온 것 = 커밋(commit) 변경 내역 확인이 어렵다.작업을 되돌리기가 어렵다.협력하기 어렵다.변경 내역들을 기억하며필요하다면 작업을 되돌리며여러명의 코드를 쉽게 나누고 합치며깃은 VCS의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2기 - (03-21 스터디노트)
01 버전관리 시스템(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sVersion Control SystemsSource Data + History협업, 작업추적, 복구 등이 가능02 Git 등장 배경Source Folder + 실행파일을 버전별로